클래식음악 2169

베토벤 :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서곡, Op.43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The Creatures of Prometheus, Op. 43 - Overtura. Adagio - Allegro molto con brio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이것은 베토벤이 작곡한, 단 2개의 발레 음악 중에 두 번째의 것이다. 이 발레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은 이 때 빈에서 인기가 좋았던 하이든의 "천지 창조"에서 힌트를 얻었다는 설도 있다. 초연은 1799년에 이루어졌고, 전체는 서곡과 도입부 및 16곡으로 구성되었다. 모두 베토벤이 작곡하였지만 현대에 와서 이 서곡만이 독립해서 관현악용으로 연주되고, 나머지는 피아노의 편곡으로 들어야만 한다. 그나마 서곡을 제외하고는 거의 연주되는 기회가 없다. 이탈리아 무용가 비가노의 발레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을 위..

하이든 : 파리 교향곡(No. 82-87) & 런던 교향곡 (No. 93-104)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6 "Paris" & 12 "London" Symphonies Franz Joseph Haydn, 1732∼1809 파리 교향곡 또는 파리 교향곡집은 요제프 하이든이 1785년과 1786년에 작곡한 여섯 개의 교향곡을 부르는 이름이다. 〈파리 교향곡〉은 ‘신 하이든 전집’에 따르면 1785년에 '87번', ‘85번’, ‘83번’, 3곡이 작곡되었고, 다음 해인 1786년에 ‘84번’, ‘86번’, ‘82번’의 3곡이 작곡되었다. 교향곡 제93~98번, 99~104번은 두 차례의 런던 방문 때에 작곡된 곡들이다. 12개에 달하는 이들 교향곡은 런던의 청중들을 위해 작곡되었다고 해서 "런던 교향곡"이라 하기도 하고, 음악 흥행을 주선하는 잘로몬(Salomon)의 협조하에 작곡되었다고 해서 "잘로몬 교향곡"이..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English Baroque Soloists · John Eliot Gardiner]

Le nozze di Figaro, K.492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Bryn Terfel ・ Alison Hagley ・ Rodney Gilfry ・ Hillevi Martinpelto ・ The Monteverdi Choir ・ The English Baroque Soloists ・ John Eliot Gardiner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K.492 1782년에 작곡가 파이지엘로가 발표한 [세비야의 이발사](파이지엘로의 작품보다 훨씬 유명한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1816)는 훗날의 리메이크 작품입니다)가 장기 흥행에 성공하자 모차르트는 그 인기에 힘입어 성공해 볼 계획으로 '이발사' 원작자인 보마르셰의 속편 [피가로의 결..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Sir Georg Solti]

Le nozze di Figaro, K.492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Samuel Ramey · Lucia Popp · Jane Berbié · Kiri Te Kanawa · Sir Thomas Allen · Frederica von Stade ·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Sir Georg Solti 01. Overture 02. Act 1 - "Cinque... deci... venti..." - "Cosa stai misurando" 03. Act 1 - "Se a caso Madama" - "Or bene, ascolta, e taci" 04. Act 1 - "Bravo, signor padrone...Se vuol ball..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Orchester der Deutschen Oper Berlin · Karl Böhm]

Le nozze di Figaro, K.492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Edith Mathis · Gundula Janowitz · Dietrich Fischer-Dieskau · Hermann Prey · Orchester der Deutschen Oper Berlin · Karl Böhm 01. Overture 02. Act 1 - "Cinque... dieci... venti..." 03. Act 1 - "Cosa stai misurando" 04. Act 1 - "Se a caso Madama la notte ti chiama" 05. Act 1 - "Or bene, ascolta, e taci" 06. Act 1 - "Bravo, Signor padron..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Wiener Philharmoniker · Erich Kleiber]

Le nozze di Figaro, K.492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Alfred Poell - Il Conte di Almaviva Lisa della Casa - La Contessa Hilde Gueden - Susanna Cesare Siepi - Figaro Suzanne Danco - Cherubino Hilde Rösse-Majdan - Marcellina Fernando Corena - Bartolo Murray Dickie - Basilio Wiener Staatsopernchor Wiener Philharmoniker Erich Kleiber 01. Ouvertura 02. Atto Primo: Cinque...Dieci...Venti...Tr..

클라크 : 덴마크의 황태자 행진곡(Prince of Denmark's March)

The Prince Of Denmark's March Jeremiah Clarke, 1674-1707 Trumpet voluntary란 곡명으로 보통 많이 알려져 있지만 원제는 “덴마크의 황태자 행진곡”(Prince of Denmark's March)으로 1700년경 예레미아 클라크(Jeremiah Clarke, 1674-1707)가 작곡한 작품이다. 이 곡은 1981년 웨일스의 황태자 찰스(Charles, Prince of Wales)와 약혼녀 다이애나 스펜서(Lady Diana Spencer)의 결혼식에서 연주되었을 만큼 결혼식 음악(wedding music)으로 매우 대중적(very popular)이다. 특히 이 작품은 헨리 우드 경(Sir Henry Wood)의 트럼펫(trumpet)과 현악 오케..

드뷔시 : 전주곡집 제1권 · 제2권 [Paul Jacobs]

Préludes - Book 1, L.117 & Book 2, L.123 Claude Debussy, 1862~1918 드뷔시는 전주곡집을 2권(한 권당 12곡씩 모두 24곡) 작곡하였는데 제1권은 1910년에, 제2권은 1912년에 출판하였다. 그는 여기서 피아노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는데, 이것은 그에게서 떠오르는 회상과 환상, 그리고 외계로부터 받은 인상, 나아가서는 감각 등을 취급한 것으로 쇼팽 이래 최대의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1권〉 1. 델피의 무희들 2. 돛 · 항구에서 쉬는 작은 배 3. 들을 지나는 바람 4. 소리와 향기가 저녁 대기 속에 감돈다 5. 아나카프리의 언덕 6. 눈 위의 발자국 7. 서풍이 본 것 8. 아마색 머리카락의 아가씨 9. 끊어진 세레나데 10. 적막한 ..

드뷔시 : 전주곡집 제1권 · 제2권 [Krystian Zimerman]

Préludes - Book 1, L.117 & Book 2, L.123 Claude Debussy, 1862~1918 드뷔시는 전주곡집을 2권(한 권당 12곡씩 모두 24곡) 작곡하였는데 제1권은 1910년에, 제2권은 1912년에 출판하였다. 그는 여기서 피아노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는데, 이것은 그에게서 떠오르는 회상과 환상, 그리고 외계로부터 받은 인상, 나아가서는 감각 등을 취급한 것으로 쇼팽 이래 최대의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Book 1, L.117 1-1 Danseuses De Delphes 1-2 Voiles 1-3 Le Vent Dans La Plaine 1-4 «Les Sons Et Les Parfums Tournent Dans L'Air Du Soir» 1-5 Les Coll..

피아졸라 : 그랑 탱고(Le Grand Tango) [Yo-Yo Ma]

Le Grand Tango Astor Piazzolla, 1921~1992 피아졸라의 대표적인 곡 는 그가 당대 최고의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에게 헌정한 대곡으로, 원곡은 첼로 소나타 형식이지만 곡의 내용적 깊이와 스케일은 거의 첼로 협주곡에 가깝다. 곡이 가지고 있는 거친 파괴력과 침잠하는 서정성으로 인해 첼로뿐만 아니라 바이올린, 비올라, 바순 등 다양한 버전으로 편곡되어 많은 연주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오고 있다.

피아졸라 : 반도네온 협주곡 [Astor Piazzolla · Orchestra Of St. Luke's · Lalo Schifrin]

Concierto para bandoneon Astor Piazzolla, 1921~1992 ‘반도네온 협주곡’은 피아졸라가 58세에 만든 작품이다. 교향악단 편성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피아졸라였지만 이 음악에서만큼은 각 악기의 특성을 종합해 규모가 큰 탱고를 만들어냈다. 반도네온의 쓸쓸함과 오케스트라의 힘이 더해진 ‘웅장한 탱고’다. 반도네온(Bandoneon)은 아코디언과, 음색은 오르간과 비슷하지만 남미 고유의 애절함이 묻어있는 악기다. 1800년대 후반 독일 선원들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하며 들고 갔던 반도네온은 이후 아르헨티나 탱고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악기가 됐다. 1. Allegro marcato 2. Moderato 3.Presto

피아졸라 :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사계 (Arr. Desyatnikov) [Leticia Moreno · Andrés Orozco-Estrada ·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The Four Seasons of Buenos Aires) Astor Piazzolla, 1921~1992 비발디의 사계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비교대상이 되고는 하는 피아졸라의 는 비발디와는 다르게 처음부터 모음곡으로 작곡된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시기에 작곡된 독자적인 작품들이다. 처음부터 사계절을 염두하고 작곡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처음 1965년 ‘Verano Porteño(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여름)’을 작곡하고 난 후 ‘Otoño Porteño(부에노스 아이레스의 가을)’ 을, 그리고 ‘겨울’, ‘봄’ 의 순서로 1970년 까지 각기 따로 작곡되었다. 하지만 마지막에 이 곡을 모아 자신이 이끄는 5중주 단이 연주할 수 있게 만들었는..

피아졸라 : 망각(Oblivion) [Astor Piazzolla/Richard Galliano/Gidon Kremer]

Oblivion Astor Piazzolla, 1921~1992 Piazzola의 Oblivion은 누에보 탱고의 대표적인 곡으로 1984년 이탈리아의 마르코 벨로치오(Marco Bellocchio)감독이 제작한 영화 “엔리코 4세(Enrico IV)”에 사용된 음악으로 아코디언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보다 애잔한 사운드를 내는 반도네온이란 악기가 사용되었고, 특히 Gidon Kremer와 Richard Galliano 등 유명연주자들의 연주 때문에 더욱 유명해진 Piazzolla의 대표곡이다. Astor Piazzolla Richard Galliano Gidon Kremer

바흐 : 푸가의 기법(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하프시코드)[Davitt Moroney]

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의 은 과 함께 바흐가 최후로 남긴 걸작이다. 바흐는 1747년 을 완성하고 1749년 을 쓰다가 1750년 세상을 떠났다. 이 작품은 대위법의 위대한 잠재력을 집대성하여 푸가 작곡의 모든 기법을 집약시킨 방대한 작품으로 대위법 작품의 최고봉에 도달한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된다.이 작품이 추구한 이상과 음악적 수준이 너무나 시대를 앞섰기 때문에 당대는 물론 20세기 초반 까지 이 작품의 가치는 전혀 이해되지 못했다. 20세기가 되어서야 겨우 음악학자들이 이 작품을 규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도 이 작품을 학구적인 복잡한 연습곡 내지 이론적 교칙본 정도로 간주한 것에 불과했다. 이 작품을..

바흐 : 푸가의 기법(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현악4중주)[Emerson String Quartet]

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의 은 과 함께 바흐가 최후로 남긴 걸작이다. 바흐는 1747년 을 완성하고 1749년 을 쓰다가 1750년 세상을 떠났다. 이 작품은 대위법의 위대한 잠재력을 집대성하여 푸가 작곡의 모든 기법을 집약시킨 방대한 작품으로 대위법 작품의 최고봉에 도달한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된다.이 작품이 추구한 이상과 음악적 수준이 너무나 시대를 앞섰기 때문에 당대는 물론 20세기 초반 까지 이 작품의 가치는 전혀 이해되지 못했다. 20세기가 되어서야 겨우 음악학자들이 이 작품을 규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도 이 작품을 학구적인 복잡한 연습곡 내지 이론적 교칙본 정도로 간주한 것에 불과했다. 이 작품을..

바흐 : 푸가의 기법(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오르간)[Helmut Walcha]

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의 은 과 함께 바흐가 최후로 남긴 걸작이다. 바흐는 1747년 을 완성하고 1749년 을 쓰다가 1750년 세상을 떠났다. 이 작품은 대위법의 위대한 잠재력을 집대성하여 푸가 작곡의 모든 기법을 집약시킨 방대한 작품으로 대위법 작품의 최고봉에 도달한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된다.이 작품이 추구한 이상과 음악적 수준이 너무나 시대를 앞섰기 때문에 당대는 물론 20세기 초반 까지 이 작품의 가치는 전혀 이해되지 못했다. 20세기가 되어서야 겨우 음악학자들이 이 작품을 규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도 이 작품을 학구적인 복잡한 연습곡 내지 이론적 교칙본 정도로 간주한 것에 불과했다. 이 작품을..

바흐 : 푸가의 기법(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피아노)[Zoltán Kocsis]

The Art of the Fugue, BWV 1080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의 은 과 함께 바흐가 최후로 남긴 걸작이다. 바흐는 1747년 을 완성하고 1749년 을 쓰다가 1750년 세상을 떠났다. 이 작품은 대위법의 위대한 잠재력을 집대성하여 푸가 작곡의 모든 기법을 집약시킨 방대한 작품으로 대위법 작품의 최고봉에 도달한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된다.이 작품이 추구한 이상과 음악적 수준이 너무나 시대를 앞섰기 때문에 당대는 물론 20세기 초반 까지 이 작품의 가치는 전혀 이해되지 못했다. 20세기가 되어서야 겨우 음악학자들이 이 작품을 규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도 이 작품을 학구적인 복잡한 연습곡 내지 이론적 교칙본 정도로 간주한 것에 불과했다. 이 작품을..

비발디 : 화성의 영감 (L’estro armonico), Op. 3 [Fabio Biondi/Isabella Longo/Maurizio Naddeo/Europa Galante]

L'estro armonico, Op. 3 Antonio Vivaldi, 1678∼1741 ‘협주곡의 개척자’ 안토니오 비발디가 1711년 발표한 협주곡집이다. 그가 내놓은 최초의 협주곡집인 동시에 서양 음악사 사상 최초로 출판된 협주곡집이기도 하다. 다채로운 편성의 총 12곡의 협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 협주곡의 모범이 되어주었다. 그의 명성을 전유럽으로 확산시켰으며, 바흐, 헨델 등 작곡가들에게 도 큰 영향을 끼쳤다. 1703년, 스물다섯 살이 된 비발디는 출가한지 10년 만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성직자로서의 책무보다 음악 활동에 더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지병인 천식을 이유로 들어 미사 집전을 면제받았고, 몇 달 후에는 제단의 용인 하에 베네치아에 위치한 피에..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중 " 파-파-파-파-파-파-파파게나(Pa-Pa-Pa-Pa-Pa-Pa-Papagena!)" (파파게노와 파파게나의 이중창) [Rolando Villazón · Regula Mühlemann/Hermann Prey · Renate Holm]

Die Zauberflöte, K.620 / Act 2 - "Pa-Pa-Pa-Pa-Pa-Pa-Papagena!"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새잡이 파파게노는 [마술피리] 에서 극의 재미를 배가시키는 코믹한 캐릭터이다. 파파게노는 자신처럼 새의 형상을 한 천생배필 파파게나를 만나지만 사원의 시험을 겪는 중 헤어지고 만다. 절망한 파파게노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는 순간 마법의 힘에 의해 다시 파파게나가 나타나고 두 사람은 감격적으로 재회의 기쁨을 나눈다. 너무나 기쁜 나머지 서로의 이름을 수없이 더듬는 재치 만점의 이중창이다 Papageno Papagena! pa - pa - pa, pa - pa - pa pa - pa - pa - pa,pa - pa - pa - pa..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중 "지옥의 복수심이 내 마음에 끓어오르고(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 (밤의 여왕 아리아) [Diana Damrau/조수미/Roberta Peters/Lucia Popp]

Die Zauberflöte, K. 620 / Act 2 - "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지옥의 복수심이 내 마음에 끓어오르고(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오는 밤의 여왕의 두 번째 아리아이다. 복수의 아리아(Rachearie)라는 별칭을 가진 이 아리아는 흔히 밤의 여왕 아리아(Arie der Königin der Nacht)라고 불리는데, 사실 밤의 여왕 역을 맡은 배우는 이미 1막에서 종결부의 풍부한 콜로라투라로 유명한 아리아인 '떨지 말거라, 나의 사랑하는 아들'(O zittre nicht, ..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중 "오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신이여 (O Isis und Osiris)" [Franz Crass]

Die Zauberflöte, K.620 / Zweiter Aufzug - "O Isis und Osiris"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짜르트(Wolfgang Amadeus Mozart)의 오페라 마술피리 Die Zauberflote에 나오는 베이스 자라스트로의 아리아, "오,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신이여(O Isis und Osiris)"이다. 가공의 시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오페라 마술피리는 지혜의 세계를 지배하는 '자라스트로'와 어둠의 세계를 지배하는 "밤의 여왕"간의 대립을 보여준다. 2막 초반...자라스트로는 사제들과 함께 왕자 타미노에게 시험을 내리기로 결정한다. 시련을 겪으러 떠나는 타미노와 파파게노를 위해 자라스트로는 신께 기도한다. "오, 이시스..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중 "이 마술 피리의 힘은 대단하지 않은가(Wie stark ist nicht dein Zauberton)" [Fritz Wunderlich]

Die Zauberflöte, K.620 / Erster Aufzug - "Wie stark ist nicht dein Zauberto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오페라 마술피리 1막 마지막에 나오는 타미노의 아름다운 아리아입니다. Wie stark ist nicht dein Zauberton! Weil , holde Flöte, holde Flöte Durch dein Spielen Selbst wilde Tiere Freude fühlen. Wie stark ist nicht dein Zauberton! Weil , holde Flöte, durch dein Spielen Weil , holde Flöte, durch dein Spielen Selbst wi..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중 "무서워마오, 사랑하는 아들!(O zittre nicht, mein lieber Sohn!)" [Roberta Peters/조수미]

Die Zauberflöte, K.620 / Erster Aufzug - "O zittre nicht, mein lieber Soh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 마술피리는 서로 사랑하는 젊은이와 처녀가 갖가지 시험과 고초를 통과해 마침내 결혼에 이른다는 고대 시련 소설의 모티브를 소재로 삼았다. 전체적인 세계관을 보면 빛과 어둠의 세계의 대비되는 자라스트로와 여왕, 두 세계간의 사이의 투쟁을 이분법적으로 보여준다. 자라스트로는 밤의 여왕의 딸 파미나를 자신의 세계로 데려와서 밤의 여왕의 악영향으로부터 보호하려 하고, 이에 진노한 밤의 여왕은 뱀에 쫓기던 왕자 타미노를 포섭해 딸을 되찾으려 한다. 왕자 타미노는 밤의 여왕을 모시는 세 시녀의 도움으로 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