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슈트라우스 13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빠른 폴카 '관광열차(Vergnügungszug)', Op. 281

Vergnügungszug, Polka-schnell, Op. 281Johann Strauss II, 1825∼1899 Vergnügungszug (관광열차), 작품번호 281은 요한 슈트라우스 2세가 1864년에 작곡한 폴카 입니다. 이 곡은 1864년 1월 19일 레두텐잘에서 열린 산업 소사이어티 협회의 무도회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빈 에서 시골까지 여행을 제공하는 많은 '쾌락 열차'를 운행했던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인 쥐트반의 개통에 영감을 받았습니다.  Wiener Philharmoniker · Willi Boskovsky Carlos Kleiber · Wiener Philharmoniker   Mariss Jansons · Wiener Philharmoniker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안넨 폴카, Op. 117

Annen-Polka, Op.117Johann Strauss II, 1825∼1899 1852년작. 아마 슈트라우스의 인기 폴카들 중에서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작품일 것이다. 그만큼 요제프 란너나 아버지 요한 슈트라우스의 폴카 양식을 고스란히 계승한 것처럼 보인다. 오스트리아 남부의 도시인 그라츠에 있는 '안넨잘(Annen Saal)'이라는 무도회장을 위해서 작곡된 것으로 알려진 이 곡은 폴카 특유의 흥겨운 기운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우아하고 귀여운 느낌이 가미되어 훗날의 ‘폴카 프랑세즈’를 예견케 하며, 20세기 지휘계의 '제왕' 카라얀이 아꼈던 곡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Wiener Philharmoniker · Willi Boskovsky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박쥐(Die Fledermaus)' 서곡

Die Fledermaus - OvertureJohann Strauss II, 1825∼1899'왈츠의 황제'로 불리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ss II)의 오페레타 곡. 오페레타는 오늘날 뮤지컬의 전신으로 오페라와 뮤지컬을 잇는 교두보 역할을 한 장르다. 그의 특기인 왈츠나 폴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거리의 흥미로움과 함께 음악의 즐거움을 만끽케 해주는 작품이다. 대본은 하프너와 주네에 의한 3막짜리로서, 밝고 화려한 오페레타이다. 유명한 서곡으로 시작되고, 즐거운 명곡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원숙한 수법이 충분히 표시된 작품으로서 1874년 빈에서 초연되었다. Carlos Kleiber · Wiener Philharmoniker   Berliner Philharmoniker..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황제' 왈츠, Op.437

Kaiserwalzer (Emperor), Op.437Johann Strauss II, 1825∼1899 ▒  본래 ‘왈츠(Waltz, Waltzer)’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이었다. ‘쿵작짝’하는 3박자 리듬에 기초한 이 춤곡이 연주되면 남녀가 서로 끌어안고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춤을 추게 되는데, 한 때는 그 모습이 너무 외설적이라 하여 금지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설스런 춤곡이 19세기 들어 빈의 사교계로 진출하면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 ‘빈 왈츠’는 1814년과 1815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그때까지만 해도 왈츠는 ‘고급 사교춤의 대명사’ 또는 ‘사교춤을 위한 음악’일 따름이었다. 즉 왈츠 ..

[클래식명곡]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봄의 소리' 왈츠, Op.410

Fruhlingsstimmen(Voice Of Spring), Op.410 Johann Strauss II, 1825∼1899 ▒  본래 ‘왈츠(Waltz, Waltzer)’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이었다. ‘쿵작짝’하는 3박자 리듬에 기초한 이 춤곡이 연주되면 남녀가 서로 끌어안고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춤을 추게 되는데, 한 때는 그 모습이 너무 외설적이라 하여 금지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설스런 춤곡이 19세기 들어 빈의 사교계로 진출하면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 ‘빈 왈츠’는 1814년과 1815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그때까지만 해도 왈츠는 ‘고급 사교춤의 대명사’ 또는 ‘사교춤을 위한 음악’일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남국의 장미' 왈츠, Op. 388

Roses from the South (Rosen aus dem Süden), Op. 388Johann Strauss II, 1825∼1899 ▒  본래 ‘왈츠(Waltz, Waltzer)’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이었다. ‘쿵작짝’하는 3박자 리듬에 기초한 이 춤곡이 연주되면 남녀가 서로 끌어안고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춤을 추게 되는데, 한 때는 그 모습이 너무 외설적이라 하여 금지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설스런 춤곡이 19세기 들어 빈의 사교계로 진출하면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 ‘빈 왈츠’는 1814년과 1815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그때까지만 해도 왈츠는 ‘고급 사교춤의 대명사’ 또는 ‘사교춤을..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빈 숲속의 이야기' 왈츠, Op.325

Tales from the Vienna Woods (Geschichten aus dem Wienerwald), Op.325Johann Strauss II, 1825∼1899 ▒  본래 ‘왈츠(Waltz, Waltzer)’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이었다. ‘쿵작짝’하는 3박자 리듬에 기초한 이 춤곡이 연주되면 남녀가 서로 끌어안고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춤을 추게 되는데, 한 때는 그 모습이 너무 외설적이라 하여 금지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설스런 춤곡이 19세기 들어 빈의 사교계로 진출하면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 ‘빈 왈츠’는 1814년과 1815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그때까지만 해도 왈츠는 ‘고급 사..

[클래식명곡]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Op. 314

An der schönen blauen Donau, Walzer, Op. 314Johann Strauss II, 1825∼1899 ▒ 본래 ‘왈츠(Waltz, Waltzer)’는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이었다. ‘쿵작짝’하는 3박자 리듬에 기초한 이 춤곡이 연주되면 남녀가 서로 끌어안고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춤을 추게 되는데, 한 때는 그 모습이 너무 외설적이라 하여 금지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외설스런 춤곡이 19세기 들어 빈의 사교계로 진출하면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 ‘빈 왈츠’는 1814년과 1815년에 걸쳐 열린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그런데 그때까지만 해도 왈츠는 ‘고급 사교춤의 대명사’ 또는 ‘사교춤을 위한 음악’일..

요한 슈트라우스 2세 [Johann Strauss II, 1825 ~ 1899]

Johann Strauss II, 1825 ~ 1899 요한 슈트라우스 2세(독일어: Johann Strauß II, 1825년 10월 25일 ~ 1899년 6월 3일)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역시 작곡가인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아들이다. 아버지·동생(요셉) 등 가족 모두가 빈·바르츠바 등에서 이름을 얻은 음악 가족이다. 왈츠의 왕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다.  생애 1825년 10월 25일 빈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음악의 자질을 보였으나, 부친은 요한이 음악가가 되는 것을 반대했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1844년에는 자기의 악단을 결성하였고, 19세 때 레스토랑에서 자기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다가, 1849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아버지의 악단도 합병하였고, 지휘자·작곡가로서 인기를 높였다...

[클래식명곡] 요한 슈트라우스 1세 : 라데츠키 행진곡, Op.228

Radetzky-Marsch, Op.228Johann Strauss I, 1804~1849 ▒ 오스트리아 빈의 새해에는 도시 전체가 왈츠의 물결이 넘실거린다. 12월 31일의 자정을 가리키는 성 슈테판 성당의 종소리에 이어 빈의 라디오 방송에서는 일제히 요한 슈트라우스의 왈츠를 발송하여 새해의 시작을 일리며, 1월 1일의 새 아침이 밝아오면 전세계 음악 팬들의 이목이 빈으로 모아진 가운데 아름다운 왈츠의 멜로디로 수놓아진 빈 필하모닉의 새해 음악회가 무지크페라인 황금홀에서 열린다. 그런데 빈 신년 음악회의 진정한 열기는 요한 슈트라우스 일가의 아름다운 왈츠로 장식된 메인 프로그램이 끝난 뒤 앙코르가 시작되면서부터 후끈 달아오르곤 한다. 전통적으로 세 곡의 앙코르 곡이 연주되는데, 한 곡의 폴카와 [아름답..

요한 슈트라우스 1세 [Johann Strauss I , 1804~1849]

Johann Strauss I , 1804~1849 요한 슈트라우스 1세(Johann Strauß I, 1804년 3월 14일 ~ 1849년 9월 25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왈츠의 왕'으로 불리는 같은 이름의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버지다. 1819년 런너와 4중주단을 만들었으나, 1825년에는 독자적 악단을 창설하고, 다음해에 최초의 왈츠를 발표하였다. 1833년, 1837년의 유럽여행에서 이름을 알렸다. 빈 풍의 왈츠 연주양식을 개척하여 폴카나 카드릴도 빈 적인 세련된 감각이 있는 것으로 만들었다.  , 등 외에 많은 춤곡을 작곡하였다. 빈풍의 춤곡의 기초를 만들었다. 누구에게나 다정한 느낌을 주고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으면서도 높은 예술성을 지닌 작품이 그와 그의 아들인 요한·요..

슈트라우스 가문 : 왈츠 , 폴카, 행진곡 모음집 [Wiener Philharmoniker · Willi Boskovsky]

Tracklist 01 Johann Strauss II : An der schonen, blauen Donau, Op. 314 02 Johann Strauss II : Auf der Jagd, Op. 373 03 Johann Strauss II : Fruhlingsstimmen Walzer Op. 410 04 Johann Strauss II : Pizzicato Polka 05 Johann Strauss II : Egyptischer Marsch, Op. 335 06 Johann Strauss II : Tritsch-Tratsch Polka, Op. 214 07 Josef Strauss : Dynamiden - Waltz Op. 173 08 Josef Strauss : Die Schwatzerin -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