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 2169

바흐 : 오르간 협주곡 1 - 6번 , BWV 592 - 597 [Karl Richter]

Organ Concertos Nos.1 - 6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01. Concerto in G, BWV 592 - I. - 02. Concerto in G, BWV 592 - II. Grave 03. Concerto in G, BWV 592 - III. Presto 04.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after Vivaldi's Concerto Op.3 No. 8 - I. - 05.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after Vivaldi's Concerto Op.3 No. 8 - II. Adagio 06. Organ Concerto in A Minor, BWV 593 after Vivaldi's ..

베토벤 : 후기 현악4중주 작품 [Takács Quartet]

The Late String Quartet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String Quartet No.12 in E flat, Op.127 String Quartet No.14 in C sharp minor, Op.131 String Quartet No.15 in A minor, Op.132 String Quartet No.16 in F, Op.135 String Quartet No.11 in F minor, Op.95 - "Serioso" String Quartet No.13 in B flat, Op.130 Grosse Fuge in B-Flat Major, Op. 133 현악 4중주를 비롯한 실내악은 교향곡이나 피아노 소나타와 함께 베토벤 창작의 중추였다. 베토벤을 통..

베토벤 : 중기 현악4중주 작품 [Takács Quartet]

The Middle Quartet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String Quartet No.7 in F, Op. 59 No.1 - "Rasumovsky No. 1" String Quartet No.10 in E flat, Op. 74 - "Harp" String Quartet No.8 in E minor, Op. 59 No.2 — "Rasumovsky No. 2" String Quartet No.9 in C, Op.59 No. 3 - "Rasumovsky No. 3" 현악 4중주를 비롯한 실내악은 교향곡이나 피아노 소나타와 함께 베토벤 창작의 중추였다. 베토벤을 통해 현악 4중주는 18세기의 오락음악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 순수한 음향에 의한 절대음악의 세계로 들어섰으며..

베토벤 : 초기 현악4중주 작품 [Takács Quartet]

The Early String Quartet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String Quartet No.1 in F, Op.18 No.1 String Quartet No.2 in G, Op.18 No.2 String Quartet No.3 in D, Op.18 No.3 String Quartet No.4 in C minor, Op.18 No.4 String Quartet No.5 in A, Op.18 No.5 String Quartet No.6 in B flat, Op.18 No.6 현악 4중주를 비롯한 실내악은 교향곡이나 피아노 소나타와 함께 베토벤 창작의 중추였다. 베토벤을 통해 현악 4중주는 18세기의 오락음악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 순수한 음향에 의한 절대음악의 세..

베토벤 : 현악4중주(String Quartets) 전곡 연속 감상 [Takács Quartet]

Complete String Quartet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현악 4중주를 비롯한 실내악은 교향곡이나 피아노 소나타와 함께 베토벤 창작의 중추였다. 베토벤을 통해 현악 4중주는 18세기의 오락음악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 순수한 음향에 의한 절대음악의 세계로 들어섰으며, 듣는 이로 하여금 과장이 없는 음악 그 자체의 세계로 들어가게 만들었다. 베토벤은 현악 4중주 만큼 전 생애를 통해 골고루 작곡한 것은 없다. 비록 피아노 소나타나 교향곡도 전 생애를 통해 작곡했으나 현악4중주 만큼은 하지 못하다. 그는 모짤트나 하이든의 영향을 받은 초기에 6곡의 현악 4중주를 작곡했으며, 예술성의 극치라고 일컷는 중기에 또한 3곡의 라주모브스키를 포함해 5곡, 그리고 인간성 혹은..

푸치니 : 오페라《라보엠》[Anna Netrebko · Rolando Villazón · Boaz Daniel · Vitalij Kowaljow ·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Bertrand de Billy]

La bohème Giacomo Puccini, 1858 ~ 1924 해마다 크리스마스 무렵에 단골로 공연되는 오페라가 있습니다. 바로 크리스마스 이브에 시작되는 사랑 이야기를 그린 푸치니의 [라 보엠]이죠. 브로드웨이 뮤지컬 [렌트]로 각색되기도 한 이 작품은 예술과 가난한 삶 속에서 온갖 기쁨과 고통을 경험하며 성장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입니다. 파리 뒷골목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묘사한 프랑스 작가 앙리 뮈르제(Henry Murger, 1822-1861)의 소설 [보헤미안 삶의 정경]을 토대로 한 오페라죠. ‘이탈리아 최후의 벨칸토 작곡가’이자 ‘베르디의 후계자’라는 평을 받은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는 4대째 오르가니스트인 집안에서 태어나 아..

푸치니 : 오페라《라 보엠》중 "내가 거리를 걸으면(Quando Me'n Vò')" [Anna Netrebko]

La Bohème / Act 1 - "Quando Me'n Vò" Giacomo Puccini, 1858 ~ 1924 오페라 《라 보엠》은 파리 뒷골목에 사는 가난한 시인과 화가, 음악가, 철학자들의 우정 그리고 그들을 사랑한 여인들을 노래한 작품. 2막에서 나오는 '내가 거리를 걸으면(Quando Me'n Vò')' 는 까페 모뮈스에서 우연히 옛 애인을 본 무제타가 시침을 떼고 못 본 체하는 마르첼로의 관심을 끌려고 갖은 교태를 부리며 유혹의 손짓을 보내는 왈츠조의 아리아이다. 일명 '무제타의 왈츠'라고 한다. "내가 혼자 거리를 걸어가면, 사람들이 멈춰서서 내 아름다운 자태를 지켜봐요. 머리 끝에서 발 끝까지 꼼꼼히 살펴보지요.. 그들의 두 눈이 내뿜는 교활한 욕망의 빛을 나는 헤아려 보며 즐긴답니다..

푸치니 : 오페라《라보엠》중 "내이름은 미미(Si. Mi chiamano Mimi)" [Maria Callas]

La bohème, Act 1: "Sì. Mi chiamano Mimì" Giacomo Puccini, 1858 ~ 1924 가난한 예술가들의 방으로 불씨를 빌리러 온 미미, 초를 떨어뜨린뒤 마루바닥에 이것을 찾던 그녀의 찬손을 잡게된 루돌포는 그대의 찬손이란 유명한 아리아를 부르게 되고 그다음 미미는 "내 이름은 미미" 란 아리아 로 답을 하게 됩니다. 이 아리아는 서정적인 멜로디와 함께 가사는 고급창녀인 미미의 새침하면서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로돌포에게 자기를 소개하면서 나타낼 때 자신은 이 역을 어떻게 해야할 지 배역을 맡은 가수들은 매우 어려워하는데 창녀지만 천박하지 않게 표현해야기 때문이다. Mimi (E un po' titubante, poi si decide a parlare; s..

푸치니 : 오페라《라보엠》중 "그대의 찬손(Che gelida manina)" [Luciano Pavarotti]

La Bohème / Act 1 - "Che gelida manina" Giacomo Puccini, 1858 ~ 1924 해마다 크리스마스 무렵에 단골로 공연되는 오페라가 있습니다. 바로 크리스마스 이브에 시작되는 사랑 이야기를 그린 푸치니의 [라 보엠]이죠. 브로드웨이 뮤지컬 [렌트]로 각색되기도 한 이 작품은 예술과 가난한 삶 속에서 온갖 기쁨과 고통을 경험하며 성장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입니다. 파리 뒷골목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묘사한 프랑스 작가 앙리 뮈르제(Henry Murger, 1822-1861)의 소설 [보헤미안 삶의 정경]을 토대로 한 오페라입니다. "그대의 찬손(Che gelida manina)"는 푸치니의 오페라 《라보엠》에서 로돌포가 얼음처럼 차가운 미미의 손에 ..

차이코프스키 : 《로미오와 줄리엣》 환상 서곡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Romeo and Juliet, TH 42, Fantasy Overture Pyotr Il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코프스키의 교향적 관현악곡의 작품 중에는 이 이외에 , , , 등 세익스피어, 바이런, 단테 등의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한 명곡들이 많다. 차이코프스키는 문학자들의 작품 가운데서 특히 세익스피어를 애독했던 모양이어서, 세익스피어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음악을 7곡이나 작곡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내용적으로 뛰어나고, 일반에게 사랑받고 있는 것은 환상적 서곡 이다. 이 은 차이코프스키가 모스크바에 정착한 3년째 되는 1869년(29세)에 완성하여 그 이듬해 3월에 그의 은인이자 친구인 니콜라이 루빈시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차이코프스키에게 이 세익스피어의..

차이코프스키 : 현을 위한 세레나데, Op.48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erenade for Strings in C, Op.48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이 사랑스러운 작품은 ‘세레나데’의 장르적 이미지 때문에 종종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차이코프스키의 가장 뛰어난 작품들 가운데 하나이며 그가 각별히 아끼고 자랑스러워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아울러 ‘러시아적 우수와 정한(情恨)의 아이콘’으로 기억되는 차이코프스키가 남긴 가장 밝고 쾌적한 관현악곡으로서 그의 작품세계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세레나데는 1880년 가을(9~10월)에 [1812년 서곡](9~11월)과 나란히 작곡되었는데, 그 무렵을 전후하여 차이코프스키는 서유럽의 음악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당시 그는 자주 서유럽을 여행하며 독일, 프랑스..

차이코프스키 : 로코코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33 [Mstislav Rostropovich ·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Variations On A Rococo Theme, Op.33, TH.57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1876년 가을 차이코프스키는 단테의 "지옥"편의 에피소드에 근거한 금지된 사랑의 드라마인 교향시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라는 곡을 작곡하였다. 그 해 말 뒤이어 그는 "로코코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작곡하였는데, 이 작품은 그의 음악원 동료이자 첼리스트인 빌헬름 피첸하겐의 부탁으로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작곡가 자신의 작풍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이 작품은 모차르트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면서도 목관악기와 호른 그리고 일반적인 현악기들의 조화를 생각하여 18세기 오케스트라에 적합하도록 작곡되었다. 그러나 작곡가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도 이 곡은 피첸..

차이코프스키 : 이탈리아 기상곡, Op.45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apriccio italien, Op. 45, TH 47 Pyotr Ilich Tchaikovsky, 1840∼1893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수많은 관현악곡 중에서 가장 짜임새가 있는 매력적인 곡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대체로 러시아의 기후 풍토나 정치를 반영한 때문인지 어둡고 비애감이 넘치는 것이 많은데, 이 은 매우 밝고 유쾌한 음악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당시 차이코프스키가 결혼에 실패하고 마음의 상처와 피로에 지친 심신을 회복하기 위하여 스위스와 이탈리아로 요양을 떠난 일이 있는데, 그 때 남국 이탈리아 풍토에서 얻은 밝은 인상에 의해 작곡된 듯하다. 이를 뒷받침한 이야기로는 1886년(46세)의 2월 그가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 의하면 "나는 수일 전부터 민요의 선율을 토대로 ..

차이코프스키 : 서곡《1812년》, Op.49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 Don Kosaken Chor]

1812 Overture, Op. 49, TH 49 Pyotr Il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코프스키가 [1812년 서곡]을 작곡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의 일로 [이탈리아 기상곡]을 완성한 지 조금 뒤의 일이었다. 모스크바에서 열릴 산업 예술 박람회의 음악감독이 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당시 러시아에서 손꼽히는 피아니스트이자 차이코프스키의 친구였으나, 작곡가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혹평한 일로 한때 우정에 금이 가기도 했었다)의 의뢰 때문에 쓰게 된 작품이다. 제목의 ‘1812년’은 이 해에 있었던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전(러시아에서는 이를 ‘조국 전쟁’이라 불렀다)을 가리킨다. 처음에 의기양양하게 진군하던 프랑스군이 러시아군을 만나 격렬하게 싸우는 모습이 ‘라 마르세예즈’..

차이코프스키 : 슬라브 행진곡, Op.31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lavonic March, Op. 31, TH 45 Pyotr Ilich Tchaikovsky, 1840∼1893 1870년대 중반, 아나톨리아 반도는 극심한 가뭄과 기근에 시달렸다. 그로 인해 재정난에 처하게 된 오스만투르크 제국은 발칸 반도의 속국들에 과도한 세금을 부과했고, 당연히 그 나라 국민들의 불만은 갈수록 증폭되었다. 결국 1875년 여름,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군대를 일으켰다. 그리고 이듬해 4월에는 불가리아에서도 봉기가 일어났다. 일련의 사태는 일단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정리되는 듯했다. 세르비아 군대는 알렉시나크와 주니스에서 투르크 군대에게 패퇴했고, 불가리아의 봉기도 무참히 진압되었다...

차이코프스키 : 《에프게니 오네긴(Eugene Onegin)》중 "왈츠"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Eugene Onegin, Op.24, TH.5 - Valse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푸시킨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시로프스키가 만든 대본에 의해 1878년 작곡하여 이듬해 모스크바에서 초연된 오페라이다. 전3막 7장으로 된 이 작품은 오페라의 극적 효과보다 정밀한 심리 묘사를 다룬 서정극으로 일종의 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작곡가 자신도 오페라라 하지않고 으로 명명한 이 작품은 낭만적 청년 렌스키와 그의 친구 오네긴 사이에서 번민하는 타티아나의 심리를 다루고 있다. 1820년대 러시아의 농촌과 페테르스부르크를 배경으로 한 이 극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시골 영주의 딸 타티아나는 감상적이고 꿈많은 처녀인데 그녀의 누이동생 오리가는 말괄량이다. 어느 날 오리가를..

차이코프스키 : 《에프게니 오네긴(Eugene Onegin)》중 "폴로네이즈"[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Eugene Onegin, Op.24, TH.5 - Polonaise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푸시킨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시로프스키가 만든 대본에 의해 1878년 작곡하여 이듬해 모스크바에서 초연된 오페라이다. 전3막 7장으로 된 이 작품은 오페라의 극적 효과보다 정밀한 심리 묘사를 다룬 서정극으로 일종의 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작곡가 자신도 오페라라 하지않고 으로 명명한 이 작품은 낭만적 청년 렌스키와 그의 친구 오네긴 사이에서 번민하는 타티아나의 심리를 다루고 있다. 1820년대 러시아의 농촌과 페테르스부르크를 배경으로 한 이 극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시골 영주의 딸 타티아나는 감상적이고 꿈많은 처녀인데 그녀의 누이동생 오리가는 말괄량이다. 어느 날 ..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6번 B단조, Op.74《비창》[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 6 in B Minor, Op. 74, TH 30 - "Pathétique"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코프스키의 최대걸작으로 꼽히는 이곡은 자신도 "나의 일생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란 말을 했다. 불과 12일 만에 작곡된 이곡은 1893년 완성하여 자신의 지휘로 초연하였는데 자신의 기대와는 달리 청중들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차이코프스키는 초연 9일 만에 콜레라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곡 전체에 흐르는 절망, 우울의 감정에 의해 "비창"이라는 제목을 가진 이곡은 그의 추모 연주회 때 재연주되어 관객들이 눈물을 흘렸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 낭만주의 교향곡 중에 작품성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다. 제1악장 Adagio - ..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5번 E단조, Op.64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5 In E Minor, Op.64, TH.29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콥스키가 [교향곡 5번]에 착수했던 1888년은 그가 [4번]을 쓴 지 11년이 되는 해였다. 그해 3월에 작곡가는 오랜 서유럽 생활을 청산하고 모스크바 북쪽 근교의 프롤로프스코예라는 마을(훗날 작곡가가 마지막으로 정착한 클린 시 근방)로 이사했다. 그는 숲에 둘러싸인 이 한적한 마을에서 묵은 피로를 풀면서 작품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5월 말에 동생 모데스트에게 보낸 편지에는 ‘새 교향곡의 소재를 조금씩 모으려 한다’고 적혀 있었지만, 6월에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는 ‘교향곡을 새로 쓸 생각이라고 말씀드렸던가요? 시작은 힘들었지만, 이제는 영감이 찾아온 ..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4번 F단조, Op.36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4 In F Minor, Op.36, TH.27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1876년 말 모스크바 음악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36세의 차이코프스키는 자신의 마음에 내재되어있는 동성애적인 기질에서 벗어나고자 한 오페라 여가수에 사랑에 빠지지만 매몰찬 거절을 당한다. 그리고 나서 1877년 한 음악원 제자의 권유로 28세의 안토니아 이바노브나 미류코바라는 음악원 여학생을 만나게 된다. 그녀의 폭풍같은 정열은 그를 당황하게 하였고 결국 7월 18일에 결혼하였다. 하지만 그녀는 평범한 여자였고 차이코프스키의 예술을 이해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차이코프스키의 내적인 동성애의 본능이 정신적 문제를 일으켜 차이코프스키는 그녀의 곁을 떠나게 되었다. 차이코프..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3번 D장조, Op.29 《폴란드》[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3 In D Major, Op.29, TH.26 - "Polish"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3번은 폴란드라는 부제가 붙은 작품으로 폴란드라는 부제가 붙은 건 차이코프스키가 세상을 떠나고 6년 뒤 영국 런던에서 열린 연주에서 마지막 악장인 5악장의 빠르기 기호가 폴란드 춤곡의 빠르기로 라는 문구를 보곤 붙여진 부제라고 합니다. 5악장은 실제로 폴란드 민속 무곡을 인용한 것이라고도 하는데 어찌 되었던 폴란드라는 부제는 차이코프스키가 직접 붙인 건 아니라고 합니다.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3번은 1875년에 완성된 작품으로 로베르트 슈만의 영향을 많이 받아 낭만적인 분위기를 보이지만 민족주의의 성향도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작품이기도..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2번 C단조, Op.17 《작은 러시아》[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2 In C Minor, Op.17, TH.25 - "Little Russian"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2번은 1872년 완성되어 이듬해인 1873년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음악 협회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된 작품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대로 이 작품은 작은 러시아라는 주제가 붙어있는데 우크라이나 민요가 이 작품 곳곳에 사용되어 러시아 국민악파의 평론가들에 의해 붙여진 것이라 합니다. 차이코프스키는 학창시절 잠시 우크라이나에 있는 누이동생에 머문 적이 있었다고 하는데 아마 그곳에서 우크라이나의 민요들을 접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합니다. 이 작품은 모두 4악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악장은 Andante so..

차이코프스키 : 교향곡 제1번 G단조, Op.13《겨울날의 환상》[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Symphony No.1 In G Minor, Op.13, TH.24 - "Winter Reveries"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1866년에 작곡된 차이코프스키의 나이 26세에 작곡한 초기 작품이다. 차이코프스키가 모스크바음악원에서 교수로 활동할때 작곡했다. 전통적인 4악장 구성으로 다른 작품에 비해 완성도는 약간 떨어진다는 평을 듣고 있다. 각 악장에는 차이코프스키가 붙인 표제가 붙어있다 1악장에는 겨울 여행의 몽상 (겨울날의 환상) 2악장에는 음산한 땅, 안개의 땅 (어둠에 땅, 안개의 땅) 3악장 춥고 오랜 겨울 여행에 지친 여행자의 꿈들 4악장 꽃망울이 열리고 어떠한 이유에서 이러한 암시적인 표제를 붙였는지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으나 겨울로 상징되고 있는 ..

푸치니 : 오페라《토스카》[Maria Callas · Carlo Bergonzi · Tito Gobbi · Georges Prête]

Tosca Giacomo Puccini, 1858 ~ 1924 01. Ah! Finalmente! (Act One) 02. Dammi I Colori...Recondita Armonia (Act One) 03. Gente Là Dentro! (Act One) 04. Mario! Mario! Mario! (Act One) 05. Ah, Quegli Occhi...Quale Occhio Al Mondo Può Star Di Paro (Act One) 06. È Buona La Mia Tosca (Act One) 07. Un Tal Baccano In Chiesa! (Act One) 08. Or Tutto È Chiaro...Tosca? Che Non Mi Veda...Mario! Mario! (Act One..

푸치니 : 오페라《토스카》중 "오묘한 조화(Recondita armonia)" [Luciano Pavarotti]

Tosca / Act 1 - "Recondita armonia" Giacomo Puccini, 1858 ~ 1924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의 〈토스카〉는 원래 프랑스 극작가 사르두(Victorien Sardou, 1831~1908)가 당대의 명우 사라 베르나르(Sarah Bernhardt, 1844~1923)를 위해 쓴 걸작으로, 푸치니가 밀라노에서 원작의 상연을 보고 큰 감동을 받아 친구 주세페 자코사와 루이지 일리카의 각색을 바탕으로 작곡한 3막 오페라이다. 푸치니는 일상을 살아가는 보통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애절한 아리아들로 승화시켰는데‘오묘한 조화’는 토스카 1막에 나오는 노래로서 화가 카바라도시가 성당에서 막달라 마리아상을 그리고 있던 중, 자신의 그림을 바라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