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드뷔시·라벨·포레·사티

포레 : 레퀴엠, Op.48 [Philharmonia Orchestra · Carlo Maria Giulini]

想像 2024. 3. 5. 15:31
반응형

Requiem, Op.48
Gabriel Fauré 1845 - 1924


포레의 레퀴엠은 그의 부친이 사망(1885)했을 때 착수하여 1887년에 완성되었는데, 7곡으로 되어있고 멜로디는 그레고리우스 성가와 같이 종교적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가곡처럼 아름답고 서정적이다. 구성에 있어서는 교회음악의 전통적인 독창과 합창의 응창(Responsorial, 應唱), 2성부 사이의 교창송(Antiphonal) 및 독특한 카논(Canon)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전통적으로 레퀴엠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작곡되는 '진노의 날(Dies irae)'은 생략되었다. 절제와 간결성이 포레 레퀴엠의 특징이며, 특히 그의 가곡을 연상시키는 아름답고 표정적이고, 또한 화성적 미묘함과 표현적 다양성, 그리고 맑고 순수한 아름다움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포레의 레퀴엠이 독특한 것은 그것이 부드럽고 조용하며 심판과 저주가 아니라 용서와 희망에 차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개성이 수많은 레퀴엠들 가운데 포레의 것이 지니는 독특함이다. 베르디나 베를리오즈의 장대하고 극적인 레퀴엠과 비교해 보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레퀴엠은 오히려 이교적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 작곡가 자신의 말은 이러하다.

"나의 레퀴엠은, 죽음의 두려움을 표현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되어 왔다. 오히려 죽음의 자장가라고 불리었다. 내가 죽음에 대해서 느낀 것은 서글픈 스러짐이 아니라 행복한 구원이며, 영원한 행복에의 도달인 것이다."


 

Faure: Requiem / Ravel: Pavane pour une infante defunte ℗ 1986 Deutsche Grammophon GmbH, Berlin

 

 

Philharmonia Orchestra · Carlo Maria Giulini · Timothy Farrell · Philharmonia Chorus London · Horst Neumann

 

 

 

제 1곡. 입당송, 불쌍히 여기소서(Introit et Kyrie)
금관의 무거운 전주후에 주에게 죽은자의 영원한 안식을 기도하는'입당송(Introitus)'이 이어지고, "불쌍히 여기소서 (Kyrie elei-son)"가 반복됩니다. 전곡을 통해 계속 볼 수 있는 오르간이 마치 바로크 음악의 통주저음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 2곡. 봉헌송(Offertoire)
신에게 희생을 바치고 죽은자의 영혼을 죄와 지옥에서 구해달라는 기원문입니다. 알토와 테너합창의 "영혼을 구하소서"에 이어 바리톤 독창으로 "주께 희생의 기도와 찬양을..."이 등장하고, 앞의 합창부를 재현하는 "주 예수 영광의 왕이시여(O Domine Jesu Criste)"의 합창으로 끝을 맺습니다.

제 3곡. 거룩하시다(Santus)
하프와 바이올린의 반주로 알토 성부가 빠진 3성의 합창으로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 하늘과 땅에 가득한 영광. 지극히 높은 곳에서 호산나" 를 노래합니다. 호른의 총주와 함께 시작되는 "Hosanna inexcelsis" 부분이 압권입니다.

제 4곡. 자비로우신 주 예수여(Pie Jesu)
현의 피치카토 반주와 함께 애절한 표정의 소프라노 독창으로 재차 죽은 이의 안식을 구하는 이 부분에서 전곡을 통해 가장 아름다운 선율이 등장하고 있으며, 포레의 지극히 프랑스적이며 서정적인 예술혼이 잘 나타나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 5곡. 주의 어린 양(Agnus Dei)
무척이나 가요적인 선율로 이루어져 그 멜로디가 쉽게 귀에 들어와 입에 붙는 합창의 아름다움은 또 한번 포레의 감성에 대해 감탄을 금치 못하게 만듭니다. 앞 부분이 오르간과 금관의 총주로 막을 내리고 Requiem aeternam 부분이 재현되면서 끝을 맺습니다.


제 6곡.구원하여 주소서(Libera me)
저음 현의 피치카토 반주와 함꼐 바리톤 독창이 영혼의 구원을 갈망합니. 3개의 트롬본이 등장하면서 '진노의 날(Dies irae)'부분이 이어지며, 'Requiem aeternam'의 휴지부를 거쳐 앞선 독창부분을 합창으로 재현합니다.


제 7곡. 천국에서(In Paradisum)
동형 반복의 오르간 반주가 효과적으로 사용된 이곡은 여느 레퀴엠에서는 만날 수 없는 부분이며, 기쁨으로 죽음을 맞이하려는 작곡가의 의도가 담긴 곡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