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찬글모음/해외여행

[여행정보]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유럽식 비데

by 想像 2024. 9. 3.
반응형

유럽의 호텔에 숙박하면서 화장실을 사용하다 보면 특히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좌변기 바로 옆에 한국에는 없는 또 하나의 요상한 물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물건이라 뭐에 쓰는 물건인지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세면대인가 ? 세면대 치고는 너무 낮다. 간단한 속옷이나 양발 같은 걸 손빨래하는 곳인가? 아니면 발 씻는 곳인가? 등등 다양한 상상을 해보게 된다.

 

정답은 '유럽식 비데'이다. 우리는 좌변기와 비데가 일체화된 전자식 비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유럽은 대부분 아래 사진처럼 수동식 비데를 사용하고 있는데 호텔 좌변기 옆에 있는 물건이 바로 '수동식 비데'인 것이다. 그리고 비데 위에 걸려 있는 수건은 엉덩이 전용 수건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한국인에게 이런 유럽식 비데가 생소하다 보니 비데인 줄 모르고  "저기 과일을 담궈 씻었다", "머리를 감았다", "손 씻고 양치했다"는 경험담도 들을 수 있다. 또한 수건과 관련해서도 "엉덩이 전용 수건인 줄 모르고 손을 딱았다' 등의"경험담도 들을 수 있다.

 

비데의 어원은 16세기 무렵 유럽의 귀족사회에서 화장실에 더운물을 담아 놓는 작은 욕조 모양의 도기그릇이 등장했는데 그 위에 앉으면 작은 망아지에 앉은 것 같다고 하여 프랑스어로 망아지란 뜻인 ‘비데(Bidet)'라고 불리게 되었다. 비데는 유럽의 귀족들 중 부유한 상류층 사람들만 사용했는데 영국에서는 은으로 만든 호화로운 비데도 있었다고 한다. 이런 화려함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비데를 상류층을 사치품 정도로 여겨졌다.

 

19세기 프랑스에선 비데를 용변 후 뒤를 닦는 도구뿐만 아니라 성 관계 후 여자 몸속에 남은 정자를 씻어내기 위한 피임도구로도 사용했다. 19세기 말엽엔 유럽의 도시에 상수도가 정비되었고 비데에 자동으로 물이 나오도록 제작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유럽 전역에서 급속도로 비데가 전파가 되기 시작했다.

 

이 후 많은 유럽에서 비데를 여러 형태로 개발시켰다. 초반에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수도꼭지를 이용해 물이 나왔다면 점차 중앙에서 분수처럼 물이 뿜어 나오는 형태로 변화되었고 물의 세기도 뒷물용과 피임용을 따로 구분하여 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비데를 이용한 피임은 효과가 매우 낮고 안전하지 않아 청결한 뒤처리용으로 발전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은 다용도로 쓰이기도 한다고 한다. 발을 씻거나 애들 손을 씻는데 사용되기도 한다고 한다.

 

유럽식 비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