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arl Böhm 29

모차르트 : 교향곡 제40번 & 제41번 [Wie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ies No.40 & No.41 "Jupiter" Wolfgang Amadeus Mozart 교향곡 제40번, K.550 모차르트의 교향곡 40번 g단조는 1788년 6월부터 8월에 이르는 짧은 시기에 작곡한 모차르트 최후의 3대 교향곡 중 하나로 세 곡 중 가장 격정적이고 낭만적인 작품으로 손꼽힌다. 모차르트 사후 2년이 된 1793년에 빈의 악보상인 요한 트렉에 의해 출판될 당시 "거장의 마지막 교향곡들 중 하나이며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라는 문구로 홍보될 만큼 관습에서 벗어난 독창성, 반음계적 표현, 풍부한 아이디어가 넘치는 걸작이다. 모차르트의 카탈로그에 의하면 이 교향곡은 1788년 7월 25일에 완성되었으나 그 악보는 오늘날에 흔히 연주되는 악보와 조금 다르다. 오리지널 악보에는 ..

모차르트 : 교향곡 제35번 - 제41번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ies Nos.35 - 41 Wolfgang Amadeus Mozart 교향곡 35번 "하프너" D 장조, K. 385 (1782년) 모차르트가 결국 빈으로 이사한 후에 작곡한 곡이다. 원래는 하프너 家("하프너 세레나데, K.249"를 의뢰했었음)를 위한 세레나데로 쓰여진 곡이었다. 미뉴에트와 마치 한 악장을 뺌으로서 교향곡 형식으로 만들었다. 교향곡 36번 "린츠" C 장조, K. 425 (1783년) 모차르트가 린츠에 방문했을 때 작곡한 곡이다. 교향곡 38번 "프라하" D 장조, K. 504 (1786년) 프라하에서의 행복한 시절을 보낸 후 빈에서 작곡한 곡이다. 이전의 모차르트 교향곡보다 개념적으로 진보했으며, 연주하기 어려운 곡이다. 교향곡 39번 E flat 장조, K. 543 ..

모차르트 : 교향곡 제41번, K.551 '주피터' [Wie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41 In C, K.551 "Jupiter" Wolfgang Amadeus Mozart 모차르트는 1788년 6월부터 8월에 이르는 짧은 시기에 걸쳐, 교향곡 39번부터 41번까지의 최후의 3대 교향곡을 작곡했다. 이 세 작품은 모차르트의 교향곡 창작에 있어서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작품으로서 ‘신이 통치하는 성역’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또 비슷한 시기에 작곡된 오페라 [돈 조반니]와 [마술 피리]와 비견되는 깊은 정신 세계를 드러내고 있어 기악곡의 표현적 가능성의 정점에 다다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차르트 최후의 3대 교향곡들 가운데서도 ‘주피터’라는 부제가 붙은 [교향곡 41번]은 베토벤 이전에 작곡된 교향곡들 가운데 최대 규모의 교향곡이다. 이 교향곡에 붙은 ‘주피터’라는 ..

모차르트 : 교향곡 제40번, K.550 [Wie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40 in G minor, K.550 Wolfgang Amadeus Mozart 모차르트의 교향곡 40번 g단조는 1788년 6월부터 8월에 이르는 짧은 시기에 작곡한 모차르트 최후의 3대 교향곡 중 하나로 세 곡 중 가장 격정적이고 낭만적인 작품으로 손꼽힌다. 모차르트 사후 2년이 된 1793년에 빈의 악보상인 요한 트렉에 의해 출판될 당시 "거장의 마지막 교향곡들 중 하나이며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라는 문구로 홍보될 만큼 관습에서 벗어난 독창성, 반음계적 표현, 풍부한 아이디어가 넘치는 걸작이다. 모차르트의 카탈로그에 의하면 이 교향곡은 1788년 7월 25일에 완성되었으나 그 악보는 오늘날에 흔히 연주되는 악보와 조금 다르다. 오리지널 악보에는 클라리넷이 편성되어 있지 않지만,..

모차르트 : 교향곡 제38번, K.504 '프라하'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 38 in D Major, K. 504 "Prague" Wolfgang Amadeus Mozart 모차르트가 생애에서 가장 짜릿한 성공을 맛본 도시는 어디였을까? 그곳은 고향인 잘츠부르크도, 비엔나도 아니었다. 바로 보헤미아의 수도 프라하였다. 모차르트가 프라하에 도착한 것은 1787년 1월 11일이었다. 프라하에서 [피가로의 결혼]이 대성공을 거두자 툰 백작이 그를 초청했던 것이다. 마침 그가 도착한 날 [피가로의 결혼] 공연이 있었고, 그는 그 자리에 참석하여 청중들로부터 열광적인 갈채를 받았다. 그리고 1월 22일에는 직접 지휘봉을 들어 [피가로의 결혼] 공연을 이끌기도 했다. 그가 비엔나로 떠날 때 프라하 극장의 감독인 본디니는 그에게 새로운 오페라를 주문했는데, 그 오페라..

모차르트 : 교향곡 제36번, K.425 '린츠'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36 in C, K.425 "Linz" Wolfgang Amadeus Mozart 모차르트의 경이로운 음악성에 대해서는 여러 일화들이 전해오고 있지만, ‘작곡 속도’에 관해서라면 아마도 [린츠 교향곡]에 얽힌 일화가 으뜸으로 꼽히지 않을까? 모차르트는 1783년 11월 초, 고향 잘츠부르크를 방문했다가 빈으로 돌아가는 길에 들른 린츠(Linz, 오스트리아 제3의 도시)에서 불과 엿새 사이에(혹은 나흘 만에) 이 교향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실만으로도 기록적이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오보에, 바순, 호른, 트럼펫이 두 대씩 포함된 2관 편성에 연주 시간이 30분에 달하는 4악장짜리 교향곡을 쓰면서 오케스트라 총보는 물론 파트보까지 준비했고, 나아가 리허설을 거쳐 연주회까..

모차르트 : 교향곡 제35번, K.385 '하프너'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35 In D, K.385 "Haffner" Wolfgang Amadeus Mozart 1781년 빈에 정착한 이후, 모차르트의 창작활동의 무게중심은 다분히 실용적인 이유에서 피아노 협주곡 쪽으로 옮겨지고, 교향곡 창작은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여덟 살 때부터 교향곡 분야에 발을 들여 놓았던 그는 빈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40편 이상의 교향곡을 작곡했지만, 빈에 정주한 10년 동안에는 불과 여섯 편의 교향곡을 남겼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여섯 편은 제각기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모차르트의 완숙한 교향곡 양식을 대변하며, 나아가 하이든의 작품들과 더불어 고전파 교향곡을 대표하는 걸작들로 추앙되고 있다. 일명 [하프너 교향곡]으로 불리는 [교향곡 제35번 D장조]..

모차르트 : 교향곡 제34번, K.338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34 in C, K.338 Wolfgang Amadeus Mozart 이 교향곡은 유명한 「주피터 교향곡」과 마찬가지로 C장조이며, 1780년 모차르트의 나이 24세 때 작곡되었다. 바로 그 2년 전에는 어머니를 잃고 연애에도 실패한 모차르트였으나, 그런 우울한 그림자는 조금도 이 곡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제1악장의 세레나데 풍의 아름다운 멜로디나, 제3악장의 아리아 풍 멜로디는 과연 모차르트다운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청명하고 아름답다. 이 교향곡은 미뉴에트가 없는 것으로서, 38번인 「프라하」와 함께 만하임 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1악장 Allegro vivace 첫 번째 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이탈리아 ..

모차르트 : 교향곡 제31번, K.297 '파리'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31 in D, K.297 - "Paris"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는 전 생애에 걸쳐 여행을 계속했다. 35년이라는 짧은 생애 중 무려 17번의 여행을 했다. 악보를 팔아 생계를 유지한 최초의 독립적인 ‘시민 음악가’였던 그에게 여행은 숙명이었을지도 모른다. 그의 여행은 만 여섯 살이 되기 전인 1762년 1월 시작됐다.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딸 난네를과 아들 볼프강의 신동 같은 연주 실력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뮌헨 여행을 기획했다. 모차르트는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3세, 오스트리아 여황제 마리아 테레지아 앞에서 연주하면서 대성공을 거뒀다. 모차르트의 17번의 여행 중 11번째는 1781년 5월 빈으로 이주하기 전 잘츠부..

모차르트 : 교향곡 제25번, K.183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Symphony No.25 In G Minor, K.183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17세 되던 1773년은 모차르트의 교향곡 작곡에 있어 중요한 전환기가 된다. 소년에서 청년기로 접어든 그가 상당한 내적변화를 거치고 있던 해로써 그해 3월 세 번째 이탈리아 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모차르트는 이제까지의 기교파 피아니스트로서 보다는 작곡가로서 알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모차르트 작품에 변화를 가져다 준 좋은 기회였다. 음악학자 랜든은 이 해에 모차르트의 교향곡 양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지적한다.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오페라와 교향곡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 모차르트는 청년이 되어 잘츠부르크로 돌아와 자신의 첫 걸작으로 이 교향곡을 작..

모차르트 : 교향곡 전곡 감상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46 Symphonies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는 1764년부터 1788년까지 24년의 기간 동안 여러 교향곡을 작곡했다. 가장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모차르트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41개보다 훨씬 많은 총 68곡의 완전한 교향곡을 작곡했다고 한다. 그러나 관습적으로 마지막 세 교향곡이라고 하면 교향곡 번호 39번, 40번과 41번을 지칭한다. 일부 교향곡(K. 297, 385, 550)은 초판 이후 모차르트에 의해 수정되기도 했다. 전통적은 알려진 모차르트의 교향곡은 모두 41곡이다. 동시대의 작곡가 하이든이 썼던 100곡 이상에 견주자면 적은 분량이다. 하지만 모차르트는 자신보다 24세 연상이었던 하이든보다 훨씬 먼저 이 세상을 떠났으니, 35년간의 ..

모차르트 : 플룻과 하프를 위한 협주곡, K.299 [Wolfgang Schulz · Nicanor Zabaleta · Wie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Concerto for Flute, Harp, and Orchestra in C Major, K. 299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플룻과 하프를 위한 협주곡은 모차르트가 22세 때에 해당하는 1778년 4월 또는 5월 사이에 작곡되었다. 모차르트는 1777년 9월에 부친인 레오폴드의 권유에 의해 어머니와 함께 고향인 짤즈부르크를 출발하여 뮌헨, 아우구스부르크를 거쳐서 만하임으로 향하였고 거기에서 몇 달동안 체재한 다음 1778년 3월 22일에 파리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이 파리를 떠난 것이 9월 26일이니까 이 협주곡은 결국 파리 체제중에 작곡된 셈이 되겠다. 모차르트는 파리사람들의 천막한 분위기에 혐오감을 느꼈으며 심지어 귀족들에게 후원을 받아야 할 필요성을 느..

모차트르 : 세레나데 제9번 D장조, K.320 《포스트혼》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Serenade No. 9 in D Major, K. 320 "Posthorn" ‘세레나데(serenade)’는 원래 ‘저녁의 음악’이라는 뜻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저녁 무렵 젊은 남자가 연인의 창가 아래서 부르는 노래를 가리키는 용어로 즐겨 사용돼왔다.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나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 같은 오페라에도 이 ‘세레나데’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반면에 기악 장르에서 이 용어가 사용될 때는 주로 고전파 시대에 작곡된 기악 앙상블을 위한 다악장의 유희적인 악곡을 가리키게 된다. 비슷한 유형으로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가 있지만, 디베르티멘토가 주로 실내악 규모의 작은 편성을 위한 곡인 데 비해 세레나데는..

모차르트 : 세레나데 제7번 D장조, K.250 《하프너》[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Serenade No. 7 in D Major, K. 250 "Haffner" 하프너 세레나데는 1776년 7월에 잘쯔부르크의 시장이자 호상인인 하프너 가의 딸의 혼례 전야의 축연을 위해서 의뢰된 것으로 8악장으로 된 규모가 큰 것인데 여기에는 그 전후를 위한 행진곡도 있다. 모차르트는 그 후에도 하프너 가를 위해 6악장으로 된 세레나데를 썼는데 여기에서 도입의 악장과 제2 미뉴엣 악장의 악장을 제외하고 4악장의 교향곡으로 하여 빈에서 다시 발표하였다. 이 교향곡과 세레나데는 모두 축전에 알맞은 장엄하고 단아함을 지녔느며, 세레나데 쪽은 제2~제4악장에 독주 바이올린을 넣어 바이올린협주곡처럼 되어 있다. 당시의 세레나데나, 디베르티멘토에는..

슈베르트 : 교향곡 제9번 C장조《그레이트》, D.944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9 In C, D.944 - "The Great" 이 작품은 스케치만 남아있는 [교향곡 D장조](D936A, 1828년)를 제외하고는 슈베르트 최후이자 최대의 교향곡이다. 이 작품은 출판 당시인 1849년 시점에서는 [교향곡 7번]으로 알려져 있었다. 당시까지 슈베르트 교향곡은 1~6번까지만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 작품은 7번째 교향곡 번호를 받았던 것이다. 1884~1885년 구 전집이 출판됐을 때에도 이 사실은 그대로 적용되었다. 그 후 단순한 스케치 상태였던 [E장조 교향곡](D729, 1821년)을 어떻게 슈베르트의 작품 목록 속에 위치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불거졌다. 그래서 다시 작품의 성립 연대순으로 번호가 재배치 ..

슈베르트 : 교향곡 제8번 B단조《미완성》, D.759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8 In B Minor, D.759 - "Unfinished" 워낙 ‘미완성’이란 제목이 유명해서 슈베르트의 미완성 작품은 이 곡이 유일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실제로는 그가 1818년 이후에 작곡한 곡 가운데는 미완성작이 적지 않다. 또 교향곡의 역사를 돌이켜보아도 ‘미완성으로 완성’된 곡이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브루크너의 [교향곡 9번]도 이런 경우에 속한다. 그런데 왜 유독 이 곡만이 ‘미완성’이라는 표제가 붙은 채 누구나 사랑하는 명곡이 되었을까? 이 곡은 1822년 10월 22일 슈베르트가 작곡에 착수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관현악 총보를 만드는 작업을 가리키는 것이며, 단편적으로 존재하는 피아노 스..

슈베르트 : 교향곡 제6번 C장조《리틀》, D.589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6 In C, D.589 - "The Little" 슈베르트가 이 작품을 작곡한 것은 1817년 10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였다. 이 기간은 슈베르트로서는 긴 기간으로, 이 기간동안 그는 상당수의 다른 작품들도 함께 손을 대고 있었다. 이 무렵 슈베르트는 7개의 피아노 소나타와 두 개의 이태리 서곡, 기타 여러 가곡들을 작곡하고 있었다. 교향곡 6번은 여러 가지 점에서 이태리 서곡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의 서곡들은 당시 빈에서 대 성공을 거두고 있던 로시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이 교향곡의 선율적 매력과 가볍고 유머러스한 관현악 편성은 이태리 서곡의 영향을 반영할 뿐 아니라, 베토벤에서 연유한 다른 특성을 보여..

슈베르트 : 교향곡 제5번 Bb장조, D.485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5 In B Flat, D.485 이 교향곡은 1816년 9월에 시작,10월 완성한 다섯번째의 것으로 이 해의 4월에 만들어진 제 4번 c단조 교향곡 비극적에 이어서 썼으며, 슈베르트 19세 때의작품이다. 소관현악을 위한 교향곡으로서,'트럼펫 및 드럼을 사용하지 않음'이라는 단서가 붙었으며, 유명한 '일요일 오후의 슈베르트 4중주단'에서 발전한 단델호프의 연주 곡목으로 작곡된 것이다. 그 당시, 제 4번 교향곡과 함께 만의 지휘에 의해 종종 크리스탈 왕궁에서 연주되었다. 곡은 초기의 작품이기 때문에, 자연히 하이든이나 모짜르트 롯시니 베토벤을 사숙했던 시대의 슈베르트를 반영했고, 특히 모짜르트의 감화가 현저함을 엿볼수가 있다...

슈베르트 : 교향곡 제4번 C단조《비극적》, D.417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4 In C Minor, D.417 - "Tragic" 이 곡은 1816년에 작곡된 것으로, 그때까지 슈베르트가 작곡한 교향곡들 중 가장 괄목할 만한 결실이라 할 수 있다. 당시 19세의 젊은 청년으로서 이 작품은 놀라운 작품이 아닐 수 없다. 평론가들은 이 곡을 슈베르트의 동시대 혹은 바로 뒤의 작곡가들의 성숙기 작품들과 비교 하면서 이 곡을 헐뜯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곡의 각 악장에 나타나 있는 순수한 시적 분위기와 때로는 맑고 때로는 혼탁한 시냇물 같은 거침없는 특성들로, 이 곡은 독특한 경지를 이루고 있고, 때문에 어떤 사람도 이 곡을 함부로 헐뜯지는 못하였다. 이 곡이 없는 세상을 상상하는 것은 참으로 슬픈 일이다...

슈베르트 : 교향곡 제3번 D장조, D.200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3 In D, D.200 슈베르트의 교향곡 3번은 1815년 여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5월에 작곡하기 시작 한동안 내버려두었다가 7월의 8일간에 걸쳐 순식간에 완성되었다. 우리는 이 힘찬 곡에 들어있는 형식적 간결함과 균형감, 영감어린 서정성에 놀라게 된다. 슈베르트는 그의 전체 활동기간에 걸쳐서 소나타 형식의 악장에서 제1주제와 제2주제 사이의 날카로운 전환을 이루기를 좋아했다. 이 작품은 바로 이러한 슈베르트의 특성을 잘 드러내준다. 또한 슈베르트는 도입부에서 가져온 재료들을 본 부분에 용해시키는 것을 좋아했다. 바이올린에 의한 강력한 상행 스케일 움직임은 처음 도입부의 3-4마디에서 들린 다음에 본부분에 가서 다시 강..

슈베르트 : 교향곡 제2번 Bb장조, D.125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2 in B flat, D.125 교향곡 제1번 완성으로부터 17개월 후에 완성되었다.편성은 제 1번보다 플룻 한 개가 더해졌을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양식젇으로도 제 1번과 비슷하면서도 형식적인 면에서 좀 더 충실하다. 특히 1,4악장이 그러하다. 또한 슈베르트의 성격도 짙게 깔려 있으면서 동시에 연주자들이 연주를 즐길 수 있는 배려도 표현하였다. 편성은 플룻2, 오보에2, 클라리넷2, 파곳2, 호른2, 트럼펫2, 팀파니, 현5부로 구성되어 있다. I. Largo- Allegro vivace II. Andante III. Menuetto (Allegro vivace) IV. Presto

슈베르트 : 교향곡 제1번 D장조, D.82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Symphony No.1 in D, D.82 슈베르트의 교향곡 1번은 1813년 가을에 작곡되었고 그가 5년간 공부하였던 빈 콘빅트 오케스트라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어린 슈베르트가 작곡한 최초의 주요 오케스트라 곡으로 모차르트의 어릴 적 곡들만이 이 곡의 성숙한 면모를 능가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비해 베토벤과 하이든은 다소 늦게 성숙한 면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 음악에서 놀라운 상상력은 사색적인 면모들에서가 아니라 최종적으로 이루게 되는 승리에 넘치는 절정에서 완전히 꽃을 피게 된다. 이 작품은 현과 한 대의 플루트, 한쌍씩의 오보에와 클라리넷, 바순, 트럼펫, 호른, 그리고 팀파니로 편성되어 있다. 슈베르트가 이 곡을 작곡하게 될..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서곡 [Karl Böhm · Erich Kleiber · René Jacobs]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Le nozze di Figaro, K. 492 - Overture 모차르트는 모두 21곡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는데 그 중 3대 걸작 중의 하나가 바로 피가로의 결혼으로 1786년 초연 되었다. 피가로 결혼의 서곡은 소나타 형식으로 발랄하면서도 재치와 유머를 잘 표현한 곡으로 현악기의 속삭이듯 질주하는 빠른 흐름은 극의 내용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연상할 수 있게 한다. 프레스토 D장조 4/4박자로서 경쾌한 제크벤츠풍의 움직임이 전체를 지배하여 오페라 부파 의쾌활하고 들뜬 듯한 기분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 제1바이올린과 파곳으로 제시되는 선율은 약간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경과 악구를 거쳐 거의 전체가 반복된다. Mozart : Le ..

모차르트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Orchester der Deutschen Oper Berlin · Karl Böhm]

Le nozze di Figaro, K.492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Edith Mathis · Gundula Janowitz · Dietrich Fischer-Dieskau · Hermann Prey · Orchester der Deutschen Oper Berlin · Karl Böhm 01. Overture 02. Act 1 - "Cinque... dieci... venti..." 03. Act 1 - "Cosa stai misurando" 04. Act 1 - "Se a caso Madama la notte ti chiama" 05. Act 1 - "Or bene, ascolta, e taci" 06. Act 1 - "Bravo, Signor padron..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서곡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Die Zauberflöte, K.620 - Overture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가 죽기 두 달 전에 작곡한 오페라 ‘마술피리’는 1791년 9월 30일 빈에서 초연된 이후 오늘날까지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독일 오페라 최고의 걸작이다. 작품의 배경은 고대 이집트로 되어있지만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풍자로 가득하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18세기 유럽에서 활동했던 비밀 결사단인 프리메이슨의 정신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작품의 기본적인 갈등 구조인 자라스트로와 밤의 여왕의 대결도 빛과 어둠, 선과 악, 개혁과 반동의 대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마침내 자라스트로가 밤의 여왕을 물리친다는 결말은 프리메이슨의 근본 사상인 ..

모차르트 : 오페라 《마술피리(Magic Flute)》[Evelyn Lear · Roberta Peters · Fritz Wunderlich · Dietrich Fischer-Dieskau · Franz Crass · Hans Hotter · Lisa Otto· Berli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Die Zauberflöte, K.620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가 그의 생애 마지막 해인 1791년에 작곡한 오페라 '마술피리'는 1791년 9월 30일 빈에서 초연된 이후 오늘날까지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독일 오페라의 최고의 걸작이다. 작품의 배경은 고대 이집트로 되어있지만 정치적 풍자와 관련된 동화 같은 이야기로 가득하고, 그 바탕에는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18세기 유럽에서 활동했던 비밀 결사 프리메이슨의 정신이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의 기본적인 갈등 구조인 자라스트로와 밤의 여왕의 대결도 빛과 어둠, 또는 선악의 대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으며, 마침내 자라스트로가 밤의 여왕을 물리친다는 결말은 프리메이슨의 근본 사상인 선의 승..

모차르트 : 레퀴엠, K.626 - 눈물의 날(Lacrimosa) [Karl Böhm/Philippe Herreweghe/Herbert von Karajan]

Requiem in D Minor, K. 626 - 3. Sequentia: VI. Lacrimosa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영화 '아마데우스'의 후반부, 모차르트의 장례식은 초라합니다. 공동묘지에 폭풍우가 몰아치고, 인부들은 커다란 보자기에 담긴 시신을 그대로 구덩이에 던져 넣습니다. 그 위로 하얀 석회가루가 뿌려집니다. 폭풍우치는 소리와 함께 모차르트 최후의 걸작 ‘레퀴엠’ 라크리모사가 장엄하게 울려퍼집니다. 라크리모사는 탁월한 모차르트의 아름다운 서정성이 돋보이며 [레퀴엠]의 애통함이 정점을 이루는 곡이다. 긴장된 고양감은 모차르트의 창조적 생명의 등불이 마지막으로 타오르는 것을 애달프게 보여주는 듯하다. 악장의 끝에 등장하는 ‘레퀴엠 주제’가 그림자를 드..

모차르트 : 레퀴엠, K.626 - 진노의 날(Dies irae) [Karl Böhm/Philippe Herreweghe/Herbert von Karajan]

Requiem In D Minor, K.626 - 3. Sequentia: I. Dies irae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한 미사음악으로 모차르트가 미완으로 남긴 작품이다. 폰 발제그-스투파흐 (von Walstegg-Stuppach) 백작이 죽은 아내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작곡을 의뢰했다. 모차르트에 의해 완성된 부분은 Introitus 전체, Kyrie의 대부분, Sequentia와 Offertorium의 성악 파트와 저음 파트, 그리고 중요한 악기의 선율이다. 미완으로 남겨진 곡은 모차르트의 제자이며, 당시의 비엔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이었던 쥐스마이어(Franz Xaver Suessmayer)가 완성시켰다. ..

모차르트 : 레퀴엠, K.626 [Wiener Philharmoniker · Karl Böhm]

Requiem In D Minor, K.626 - Compl. By Franz Xaver Süssmayer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말년의 모차르트는 경제적으로 심한 압박을 받아 심신이 지쳐있었다. 먹고살기 위해서 쥐어 짜내야 했던 창작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당시에 [마술피리], [티토 왕의 자비] 같은 대작 오페라를 작곡하고 있었던 모차르트는 1791년 늦은 봄, 신원을 알 수 없는 인물로부터 [레퀴엠] 작곡 의뢰를 받는다. 밀로스 포먼 감독의 영화 [아마데우스]에서도 이 장면이 등장한다. 배우 톰 헐스가 분했던 모차르트는 검은 옷을 입은 의뢰인을 보고 오페라 [돈 조반니]의 테마가 울리는 가운데 돌아가신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를 떠올린다. 작곡료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