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감상 2388

바흐 : 이탈리아 협주곡, BWV 971 [Glenn Gould]

Italian Concerto in F Major, BWV 971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원 제목은 《이탈리아양식에 의한 협주곡》이며 비발디 등이 확립한 이탈리아풍의 협주곡 형식과 양식을 빌려 쳄발로곡으로 쓴 작품이다. 1734년에 작곡되었으며 이듬해 작곡자 자신에 의해 출판되었다. 원숙한 기교와 생기에 넘친 작품으로 바흐의 걸작 중의 하나이며 지금도 피아노 연주회 등에서 자주 연주된다. 새로운 형식을 기반으로 응용한 작품인 이탈리아 협주곡의 제목은 명실공히 협주곡이지만 여기서 협주곡이란 고전 시대에 확립된 협주곡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크 시대의 독주와 총주가 교차되는 형태의 곡임을 뜻한다. 여기서는 2단 쳄발로의 강약을 이용하여 독주와 총주의 대비를 이루어내고 있..

바흐 : 프랑스 모음곡 BWV 812 ~ BWV 817 [Glenn Gould]

French Suites, BWV 812 - 817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오늘날 가정음악으로서 사랑을 받고 있는 "프랑스모음곡"은 모두 6곡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이 가운데 5곡이 바흐의 2번째 아내 안나 막달레나에게 바쳐졌습니다. 1720년 최초의 아내 마리아 바르바라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뒤 바흐는 쾨텐의 궁정가수였던 안나를 아내로 맞아들였고 새 아내를 위해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소곡집"을 작곡했습니다. 이 가운데 "프랑스모음곡"의 5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혼시기인 1722년 무렵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쾨텐시절의 바흐는 창작의욕이 왕성한데다가 쾨텐의 궁정에 베를린에서 만든 새로운 하프시코드가 구입되는 등 좋은 환경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작품(기악곡의 ..

바흐 : 영국 모음곡 BWV 806 ~ BWV 811 [Glenn Gould]

English Suites, BWV 806 ~ BWV 811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J.S.바흐(J.S.Bach)는 이란 이름의 클라비어곡을 6곡 남겼는데 이는 쾨텐시대(1717-23년), 특히 1722년 이전에 작곡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라는 이름은 어떤 영국인의 주문으로 작곡 되어졌다고 해서 18세기 말에 사람들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곡들은 과 비교해볼 때 규모가 크고 장대하며, 감정적으로 철저히 절제되었다는 점과 그 당시 영국모음곡 양식에 따라 곡의 첫머리에 전주곡 을 두었다는게 특징적이다. 프랑스 모음곡이 가지고 있는 우아함에 대비되는 보다 장대한 규모와 음향적인 확장,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주곡이 붙어 있다는 사실이 당대의 독일인들이 보기에는 프랑스..

바흐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 2권, BWV 846-893 [Glenn Gould]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s I & II, BWV 846-893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2권으로 이루어졌으며 제1권은 1722년, 제2권은 1742년에 완성되었다. 각 권에 똑같이 24곡의 전주곡과 푸가가 들어 있으며 C장조에서 비롯하여 24의 장조와 단조가 모두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당시 실용화되기 시작한 평균율이라는 새로운 조율법에 의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가능성을 대담하게 탐구하고 있음과 동시에 건반음악 사상 비길 바 없는 예술적 표현을 이룩하고 있다. 원래는 하프시코드나 클라비코드를 위해서 쓰인 것이지만, 현재는 피아노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피아노음악의 구약성서’로도 불리고 있다. 아들과 제자의 교육을 목적으로 쓰여졌으며 오늘날..

바흐 : 토카타 BWV 910 - 916 [Glenn Gould]

Toccatas, BWV 910-916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건반 악기를 위한 음악 중 가장 오래된 형태 중 하나인 '토카타'는 이탈리아 말 '접촉하다'(toccare)의 수동형에서 나왔다. 즉 연주자의 빠른 '손놀림'에 의해 다양한 미감의 효과를 얻는 악곡이다. 초기에는 반드시 건반 음악에만 쓰이지 않았으나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는 토카타 형식의 관현악으로 시작한다.) 17세기를 거치면서 연주자의 '터치'에 가장 민감하게 변하는 건반 악기로 그 사용의 폭이 줄어들었다. 토카타는 기교와 영감의 비중이 높다는 측면이 있으나, 특별히 환상곡, 전주곡과 구별되는 확실한 특징은 없다. 바로크 시대 토카타는 환상곡, 전주곡과 마찬가지고 거의 대부분 푸가 형식과 한데..

베토벤/리스트 : 교향곡 제5번《운명》피아노 편곡 [Glenn Gould]

Symphony No. 5 in C Minor, Op. 67, S. 464 (Piano Transcription by Franz Liszt) Franz Liszt, 1811~1886 리스트는 평생을 통해 베토벤을 존경했는데 그 구체적인 결과는 베토벤이 쓴 9곡의 교향곡 全曲을 피아노곡(曲)으로 편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트는 스스로 그의 편곡을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작업에 비유하곤 했는데"베토벤의 작품에 대한 열렬한 탐구와 미적 가치의 이해, 끊임없는 피아노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가 이 어려운 작업을 가능케 했다"고 술회한 일이 있었다. 그는 단순히 편곡과 출판에 그치지 않고 이 작품들을 자신의 연주회에서 즐겨 연주했다(아마도 전 악장을 연주하지는 않았을 테지만). 이미 베토벤의 교향곡에 익숙해 있는 청..

베토벤/리스트 : 교향곡 제6번《전원》피아노 편곡 [Glenn Gould]

Symphony No. 6 in F Major, Op. 68, S. 464 "Pastoral" (Piano Transcription by Franz Liszt) Franz Liszt, 1811~1886 리스트는 평생을 통해 베토벤을 존경했는데 그 구체적인 결과는 베토벤이 쓴 9곡의 교향곡 全曲을 피아노곡(曲)으로 편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트는 스스로 그의 편곡을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작업에 비유하곤 했는데"베토벤의 작품에 대한 열렬한 탐구와 미적 가치의 이해, 끊임없는 피아노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가 이 어려운 작업을 가능케 했다"고 술회한 일이 있었다. 그는 단순히 편곡과 출판에 그치지 않고 이 작품들을 자신의 연주회에서 즐겨 연주했다(아마도 전 악장을 연주하지는 않았을 테지만). 이미 베토벤의 교향..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중 '미뉴에트' [Various Artists]

Minuet in G Major, BWV Anh. 114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1970년까지는 이 곡이 바흐가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바흐의 ‘아내 예찬곡’이라고 알고 있으나, 크리스티안 페촐드(Christian Petzold)(1677–1733)의 작품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아내 마리아 바바라(Maria Barbara)를 잃은 바흐는 36살(1721년)에 15살이나 어린 ‘안나 막달레나 빌켄’(Anna Magdalena Wilcken)을 두 번째 아내로 맞았다. 안나는 소프라노 가수로 활동할 정도로 노래를 잘했을 뿐 아니라, 악보 카피에 능숙해 남편의 악보 카피를 ..

주페 : 빈의 아침, 점심, 저녁(Morning, Noon And Night In Vienna)서곡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Morning, Noon And Night In Vienna Overture Franz Von Suppe, 1819 ∼1895 주페의 《아침, 낮, 밤 빈에서》는 빈의 아침, 낮, 밤의 모습을 묘사한 3악장의 관현악 모음곡입니다. 1악장은 빈의 아침을 묘사한 밝고 경쾌한 곡으로, 2악장은 빈의 낮을 묘사한 격렬하고 활기찬 곡으로, 3악장은 빈의 밤을 묘사한 고요하고 평화로운 곡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곡은 1866년에 작곡되었으며, 빈의 궁정극장에서 초연되었습니다. 1악장은 빈의 아침을 묘사한 밝고 경쾌한 곡으로, 트럼펫의 팡파르로 시작됩니다. 이어서 목관악기와 현악기가 아침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합니다. 2악장은 빈의 낮을 묘사한 격렬하고 활기찬 곡으로, 현악기의 빠른 움직임과 관악기의 화려한 연주로 ..

비발디 : 두대의 트럼펫을 위한 협주곡 C장조, RV 537 [John Wilbraham et al.]

Concerto for 2 Trumpets, Strings & Continuo in C Major, RV 537 Antonio Vivaldi, 1678∼1741 비발디는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서 태어나, 성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에게서 바이올린 주법과 작곡의 기초를 배웠다. 그는 헨델, 바흐 등과 함께 바로크 시대(1600~1750)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동시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로, 성당의 사제가 되었으며 머리카락이 붉었기 때문에 '붉은 머리 신부' 라고 불렸다. 비발디는 79곡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18곡의 바이올린 소나타 등을 작곡하여 바이올린을 중심으로 기악곡, 성악곡, 교회 음악 분야에서도 많은 작품을 남겼다. 비발디는 많은 협주곡을 썼지만, 「두대의 트럼펫을 위한 협주곡 C장..

비발디: 모테트 "진노, 당연한 노여움 속에(In furore iustissimae irae)" ,RV 626 [Julia Lezhneva · Il Giardino Armonico · Giovanni Antonini]

In furore iustissimae irae, RV.626 Antonio Vivaldi, 1678∼1741 안토니오 비발디 (Antonio Vivaldi, 1678 - 1741)가 남긴 소프라노 솔로에 의해 연주되는 3 개의 모테트 가운데 하나인 "In furore iustissimae irae, RV626 (진노, 당연한 노여움 속에, 작품 번호 RV 626)는 1720년대 그가 로마를 방문하였을 당시 완성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는 1722년 - 1723년에 걸친 카니발을 포함, 모두 두 번의 카니발 기간 중 로마에 체류하였는데, 어떤 카니발이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솔로 가수들에 의해 연주되는 모테트 가운데 많은 것들이 (기독교의) 특정 시즌을 겨냥한 것은 아니었던 관계로 ..

모차르트 : 짧은 미사 C장조 《오르간 솔로》, KV 259 [Celestina Casapietra et al.]

Missa brevis in C, K.259 "Organ solo"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 모차르트의 미사곡은 유작에 해당하는 Requiem(Kv.626)을 포함하여 19개로 알려져 있고, 그 중 10개의 미사곡에 Brevis(짧은) 이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Kv.259는 8번째로 작곡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776년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모차르트는 3개의 짧은 미사곡을 작곡하였습니다. 모두가 C장조로 되어 있는 것도 공통점입니다. 각각 특징에 따른 부제가 달려 있는데 Kv.257은 “Credo Mass”, Kv.258은 “Piccolominimesse” 혹은 “Spaur Mass” 이며, 이번에 연주할 Kv.259번은 “Orgelmesse” 혹은 “Orgels..

프로코피에프 :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Op.125 [Gautier Capuçon · Mariinsky Theatre Orchestra, St Petersburg · Valery Gergiev]

Sinfonia Concertante for Cello & Orchestra in E minor, Op.125 Sergey Prokofiev, 1891-1953 첼로 협주곡 제1번의 14년후인 1952년 1월에 완성된 이 곡은 사실상 첼로 협주곡 제2번에 해당하는 작품이다.프로코피에프는 이곡을 제2번이라고 부르지 않고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작품58의 첼로 협주곡의 개편이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1947년 12월 21일 모스크바 음악원의 작은 홀에서 첼로 협주곡 제1번을 연주한 로스트로포비치에게 프로코피에프는 제1번을 개작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프로코피에프는 제1번의 단순한 개편이 아닌 제1번에서는 볼 수 없는 민족적 색채, 유머, 환상적인 서정성이 풍부한 삽입악구를 ..

모차르트 : 바이올린 소나타 전집 [Violin Sonatas, String Duos & Trios] 듣기

Isabelle van Keulen (violin), Ronald Brautigam (piano) Violin Sonata No. 36 in F major, K547 'For Beginners' Andante & Allegretto in C, K 404 / 385d Andante in A and Fugue in A minor, K.402 (compl. M. Stadler)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C, K.403 (compl. M. Stadler) Fantasia (Adagio) in C Minor, K.396 Allegro in Bb major, KV372 Variations (12) in G major on 'La Bergère Célimène, K374a (K359) ..

모차르트 : 피아노 음악 전집 (Piano Music) 듣기

Mitsuko Uchida Piano Sonata No. 1 in C Major, K. 279 Piano Sonata No. 2 in F Major, K. 280 Piano Sonata No. 3 in B-Flat Major, K. 281 Piano Sonata No. 4 in E-Flat Major, K. 282 Piano Sonata No. 5 in G Major, K. 283 Piano Sonata No. 6 in D Major, K. 284 "Dürnitz" Piano Sonata No. 7 in C Major, K. 309 Piano Sonata No. 8 in A Minor, K. 310 Piano Sonata No. 9 in D Major, K. 311 Piano Sonata No. 10 i..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전집 (Piano Concertos) 듣기

Ingrid Haebler · Capella Academica, Wien · Eduard Melkus Piano Concerto No. 1 in F Major, K. 37 Piano Concerto No. 2 in B-Flat Major, K. 39 Piano Concerto No. 3 in D Major, K. 40 Piano Concerto No. 4 in G Major, K. 41 Ton Koopman · The Amsterdam Baroque Orchestra Harpsichord Concerto in D, K.107 No. 1 Harpsichord Concerto in G, K.107 No. 2 Harpsichord Concerto in E flat, K.107 No. 3 Katia Labèqu..

바르톡 : 피아노 협주곡 2번 [Sviatoslav Richter · Orchestre de Paris · Lorin Maazel]

Piano Concerto No. 2, BB 101, Sz. 95 Bela Bartok, 1881~1945 바르톡은 3곡의 피아노협주곡을 작곡하였다. 피아노의 타악기적 사용과, 선적인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1번은 1926년에 작곡되었으며 2번은 1930년에서 31년에 걸쳐서, 그리고 3번은 작곡자가 사망하던 1945년의 작품으로서 오케스트라 파트 17마디가 미완성인 작품이었다. 이들 3곡은 하나같이 작품의 완성도와 독창성에서 뛰어난 작품들이며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곡은 간결한 형식과 평이한 화성이 사용되어 있는 3번 협주곡이지만 바르톡의 전형적인 작곡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은 역시 작곡자의 전성기에 즈음하여 작곡된 제 2번 협주곡이다. 제1악장. Allegro 시작과 동시에 피아노가 힘차게 트레..

바르톡 : 피아노 협주곡 3번 [Géza Anda · Radio-Symphonie-Orchester Berlin · Ferenc Fricsay]

Piano Concerto No. 3, BB 127, Sz. 119 Bela Bartok, 1881~1945 바르톡은 이 작품을 1945년 봄에 작곡하기 시작했는데, 오케스트라 반주를 수반한 피아노 작품으로서는 최초로 작곡가 자신이 직접 연주하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고 만들었다. 대신 그는 아내가 초연시 독주를 할 것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아마도 그는 자신의 병으로 인해 독주자로서 활동을 더 이상 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아내에게 이 작품을 초연할 수 있는 권리를 주고 싶어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이 작품의 초연은 자신의 제자인 죄르지 산도르의 독주와 유진 오먼디의 지휘로 1946년 2월 8일에 이루어졌다. 이 작품의 판권이 누구에게 주어졌는가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이에 아랑..

바르톡 : 피아노 협주곡 2번 [Géza Anda · Radio-Symphonie-Orchester Berlin · Ferenc Fricsay]

Piano Concerto No. 2, BB 101, Sz. 95 Bela Bartok, 1881~1945 바르톡이 이 작품을 작곡하기 시작한 것은 1930년 10월과 다음해 10월 사이 부다페스트에서였다. 1939년에 그는 이 작품의 작곡 경위와 이 작품에 대한 자신의 견해에 대해 이례적으로 상세한 글을 남겼다. “나는... 두 번째 협주곡을 첫 번째 협주곡의 단점을 상쇄할 목적으로 작곡하리라 결심했다. 나는 오케스트라를 보다 쉽게 다루어 주제들을 한층 흥겹게 만들고자 했다. 나는 이러한 목적으로 인해 대부분의 주제들을 훨씬 더 대중적이고 쉽게 만들었다...” 초연은 1933년 2월 프랑크푸르트에서 한스 로즈바우트의 지휘와 작곡가의 피아노 연주로 이루어졌고, 바르톡의 바람대로 청중은 전작보다 훨씬 뜨거..

바르톡 : 피아노 협주곡 1번 [Géza Anda · Radio-Symphonie-Orchester Berlin · Ferenc Fricsay]

Piano Concerto No. 1, BB 91, Sz. 83 Bela Bartok, 1881~1945 1926년 8월부터 11월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서 당시 바르톡은 그 밖에도 여러 다른 피아노 작품들(소나타와 야외, 9개의 피아노 소품들)을 작곡하고 있었다. 이 작품들은 앞으로 그가 맞이하게 될 새로운 창작시기에 대한 일종의 전주곡과도 같은 것으로서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예견하고 있다. 수 년 동안의 침묵을 거친 뒤 그는 전혀 새로운 방향에서 새 출발을 하게 되었다. 그 동안 그는 작곡과 오케스트레이션에 있어서 나름대로의 스타일을 완성하고 있었고, 당시 음악 경향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거쳤으며, 특히 바로크 초기 작곡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옛 것으로부터 새로운 ..

바르톡 : 피아노 협주곡 1~3번 [Géza Anda · Radio-Symphonie-Orchester Berlin · Ferenc Fricsay]

Piano Concertos Nos.1-3 Bartók Béla, 1881~1945 바르톡의 많은 피아노 솔로 작품들도 중요하지만, 작곡가-비르투오소의 전통을 잇는 예술가로서 바르톡의 위대함은 바로 피아노 협주곡에서 비롯한다. 그의 많은 장르의 작품들 가운데에서 어떤 특정한 작품을 독립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적합한 일은 아니지만, 이 피아노 협주곡은 그의 다른 작품들보다 특별한 시대적, 음악적, 역사적 중요성을 띠고 있다. Piano Concerto No. 1, BB 91, Sz. 83 1. I. Allegro moderato - Allegro 2. II. Andante 3. III. Allegro molto Piano Concerto No. 2, BB 101, Sz. 95 4. I. Allegro 5...

바흐 : 모테트 '오 예수 그리스도, 내 삶의 빛(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 BWV118 [English Baroque Soloists · John Eliot Gardiner · Monteverdi Choir]

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 Motet, BWV 118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오 예수 그리스도, 내 삶의 빛)", BWV 118은 바흐가 작곡한 신성한 모테트로 바흐의 원숙미를 꾸밈없이 보여주는 걸작이다. 이 모테트는 독일어 시인 Paul Fleming의 시를 기반으로 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5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솔로와 합창을 위해 작곡되었습니다.

바흐 : 칸타타 BWV 147 "마음과 입과 행동과 생명으로(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Monteverdi Choir · English Baroque Soloists · John Eliot Gardiner]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Cantata BWV 147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BWV 147 Cantata For The Feast Of The Visitation Of Mary (2 July) First Part 1. Chorus: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2. Recitative (Tenor): Gebenedeiter Mund! 3. Aria (Countertenor): Schäme Dich, O Seele, Nicht 4. Recitative (Bass): Verstockung Kann Gewaltige Verblenden 5. Aria (Sop..

바흐 : 칸타타 BWV 140 "눈 뜨라고 부르는 소리 있어(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Monteverdi Choir · English Baroque Soloists · John Eliot Gardiner]

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Cantata BWV 140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Cantata BWV 140​ Cantata For The 27th Sunday After Trinity 1. Chorale: Wachet Auf, Ruft Uns Die Stimme 2. Recitative (Tenor): Er kommt, Er Kommt, Der Braut'gam Kommt! 3. Aria / Duet (Soprano, Bass): Wann Kommst Du, Mein Heil? / Ich Komme, Dein Teil 4. Chorale (Tenors): Zion Hört Di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