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감상 2388

라벨 : 발레 모음곡 '어미 거위', M. 60 (피아노 연탄곡 버전) [Martha Argerich · Mikhail Pletnev]

Ma mère l'oye, M.60 - For Piano Duet, M. 60 Maurice Ravel,1875 - 1937 라벨은 어린이를 아주 좋아했다고 한다.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고, 가정적으로 혜택받지 못한 때문인지 그는 친구 집에서 한 가족이 단란하게 지내는 속에 끼이는 것을 무상의 즐거움으로 여겼다고 한다. 특히 그 자신이 어린이 같은 성품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마치 보육원 선생만큼이나 어린이와 잘 놀았고, 또 어린이들도 자기 친구 같은 기분으로 라벨을 따랐다고 한다. 라벨은 자주 코데브스키라는 친구 집에 놀러갔다. 그러고는 친구 내외는 젖혀 두고 '장'과 '미미'라는 두 아이들과 몇 시간이고 함께 놀았다. 그는 손재간이 또 비상해서 눈깜짝할 사이에 종이인형을 만들어 냈고, 어린 미미를 무릎..

라벨 : 발레 모음곡 '어미 거위', M. 60 (실내악버전) [Ensemble DITTO]

Mother Goose Suite, M. 60 Maurice Ravel,1875 - 1937 라벨은 어린이를 아주 좋아했다고 한다.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고, 가정적으로 혜택받지 못한 때문인지 그는 친구 집에서 한 가족이 단란하게 지내는 속에 끼이는 것을 무상의 즐거움으로 여겼다고 한다. 특히 그 자신이 어린이 같은 성품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마치 보육원 선생만큼이나 어린이와 잘 놀았고, 또 어린이들도 자기 친구 같은 기분으로 라벨을 따랐다고 한다. 라벨은 자주 코데브스키라는 친구 집에 놀러갔다. 그러고는 친구 내외는 젖혀 두고 '장'과 '미미'라는 두 아이들과 몇 시간이고 함께 놀았다. 그는 손재간이 또 비상해서 눈깜짝할 사이에 종이인형을 만들어 냈고, 어린 미미를 무릎에 앉히고는 '옛날 옛적에...'..

라벨 : 발레 모음곡 '어미 거위', M. 60 (관현악버전)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Myung-Whun Chung]

Ma Mère l'Oye for orchestra Maurice Ravel,1875 - 1937 라벨은 어린이를 아주 좋아했다고 한다.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고, 가정적으로 혜택받지 못한 때문인지 그는 친구 집에서 한 가족이 단란하게 지내는 속에 끼이는 것을 무상의 즐거움으로 여겼다고 한다. 특히 그 자신이 어린이 같은 성품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마치 보육원 선생만큼이나 어린이와 잘 놀았고, 또 어린이들도 자기 친구 같은 기분으로 라벨을 따랐다고 한다. 라벨은 자주 코데브스키라는 친구 집에 놀러갔다. 그러고는 친구 내외는 젖혀 두고 '장'과 '미미'라는 두 아이들과 몇 시간이고 함께 놀았다. 그는 손재간이 또 비상해서 눈깜짝할 사이에 종이인형을 만들어 냈고, 어린 미미를 무릎에 앉히고는 '옛날 옛적에....

[클래식명곡] 쇼스타코비치 : 피아노 협주곡 제2번, 2악장 안단테

Piano Concerto No. 2 in F Major, Op. 102: II. Andante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1957년, 쇼스타코비치는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티노를 바탕으로 자신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완성한다.이 피아노 협주곡 2번은 1번이 쓰여진 지 무려 24년이 지난 1957년도에 작곡 되었습니다. 모두 3악장으로 구성되었고, 전체적으로 힘있고 활달한 분위기이지만 안단테의 2악장은 모짜르트나 다른 대가의 조용하고 아름다운 작품에 비겨 그 고요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이 오히려 더 뛰어나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입니다. 마음을 적시는 고요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과 쇼스타코비치 특유의 하드한 힘과 분위기 묘하게 잘 조화되어 있는 곡 입니다. 마음을 적시는 고요..

쇼스타코비치 : 피아노 협주곡 제2번, Op.102 [Leonard Bernstein ·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Piano Concerto No. 2 in F Major, Op. 102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이 곡은 첫 번째 협주곡과 상당한 시간차를 두고 작곡되는데, 두 번째 협주곡의 탄생에 결정적인 모티브를 제공한 것은 작곡가의 아들 막심 쇼스타코비치이다. 1938년 태어난 막심은 아버지를 닮아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에 상당한 재능을 보인다. 드미트리는 자신이 아버지를 여윈 나이와 자신의 아들이 같은 나이가 되던 1954년, 아들과의 피아노 연탄용으로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티노 작품 94를 작곡했다. 물론 남다른 의미가 있었던 이 작품에 대해 무척이나 정성을 들인 흔적이 남은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장중한 서주로 시작해 육중한 걸음걸이로 나가던 곡은 갑자기 분위기를 일신..

쇼스타코비치 : 피아노 협주곡 제2번, Op.102 [Dmitri Shostakovich Jr. · I Musici de Montréal]

Piano Concerto No. 2 in F Major, Op. 102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이 곡은 첫 번째 협주곡과 상당한 시간차를 두고 작곡되는데, 두 번째 협주곡의 탄생에 결정적인 모티브를 제공한 것은 작곡가의 아들 막심 쇼스타코비치이다. 1938년 태어난 막심은 아버지를 닮아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에 상당한 재능을 보인다. 드미트리는 자신이 아버지를 여윈 나이와 자신의 아들이 같은 나이가 되던 1954년, 아들과의 피아노 연탄용으로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티노 작품 94를 작곡했다. 물론 남다른 의미가 있었던 이 작품에 대해 무척이나 정성을 들인 흔적이 남은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장중한 서주로 시작해 육중한 걸음걸이로 나가던 곡은 갑자기 분위기를 일신..

글렌 굴드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글렌 굴드의 몇 안 되는 고전주의 음반의 해석은 논란이 뜨겁다. 그가 연주한 고전 시대 작곡가 작품의 속도는 대부분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거나 전혀 말도 안 되는 듯한 해석을 집어넣기 일쑤여서 그 작곡가의 음악에 정통한 전문가들에게 욕을 밥 먹듯이 먹는 건 양반이고, 그를 매장시키려는 음악가 집단이 생겨날 정도였다고 한다. 실제로 굴드의 모차르트 소나타는 모차라트 소나타 하면 (통념적으로) 생각는 명랑함과 즐거움, 빠른 장조 음악의 경쾌함, 유려한 레카도 같은 일체의 정서를 완전히 탈색시켜 버리고, 딱딱하고 차갑게 분해된 스타카토의 중첩만을 남겨 놓았다. 어처구니없이 빠른 템포. (때론 '알레그레토'라는 작곡가의 지시를 비웃기라도 하듯 매우 느린 템포), 제 멋대로의 셈여림과 허밍은 모차르트의 피아노..

Andrea Bocelli - Festa (From The John Lewis Christmas Advert 2023)

이탈리아의 테너이자 팝페라가수인 안드레아 보첼리(Andrea Bocelli)가 부른 곡으로, '페스타'는 '파티' 또는 '축하'를 의미합니다. John Lewis 크리스마스 광고음악으로 사용되었다 'Festa'는 어린 소년 Alfie가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할머니에게 '빠르게 자라는 나만의 나무 키우기' 키트를 요청하는 것처럼 부드럽고 살짝 홍키통크한 피아노 코드로 우리를 초대한다. Alfie는 새 친구를 화분에 심고 화분에서 생기 넘치는 포충낭을 가진 식육식물이 싹이 트고 있는 것을 보고 기뻐한다. 이때 남성들로만 구성된 합창단과 프레디 머큐리 스타일의 피아노 코드 시퀀스, 드럼 비트가 갑자기 '페스타'에 합류해 ' Snapper '의 등장을 환영한다. 그의 가족은 몇 달에 걸쳐 Snapper가 성장하자..

임형주 - 소멸하는 밤 [듣기/가사]

한국이 낳은 ‘원조 팝페라 월드스타’, 원곡가수 등의 찬란한 수식어들로 더욱 유명한 세계적인 팝페라테너 임형주(37)가 자신의 팝페라 정규 9집 앨범이자 대망의 20번째 독집음반인 [Life On Air(라이프 온 에어)]를 전격 발매했다. 이번 앨범의 타이틀곡은 정현우 시인이 자신의 시집과 동명의 제목이자 임형주를 위해 특별히 작사, 작곡해준 ‘소멸하는 밤’이며 이 곡은 임형주의 지난 창작 팝페라곡들이자 히트곡들인 ‘하월가’, ‘연인’ 등의 계보를 잇는 ‘오리엔탈 스타일’의 팝페라곡으로 전해져 더더욱 뜨거운 사랑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깨진 밤 서리가 내려 달빛이 숨죽이는 밤 거울 속 비친 내 마음 아득히 잊혀지는 밤 왜 붉게 별은 빛나고 바람은 왜 밀려오는지 꽃으로 필 수 없으니 바람에 묻는 발걸음..

임형주 정규 9집 《Life On Air》[전곡감상]

임형주 : Life On Air (2023.11.30) 한국이 낳은 ‘원조 팝페라 월드스타’, 원곡가수 등의 찬란한 수식어들로 더욱 유명한 세계적인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자신의 팝페라 정규 9집 앨범이자 대망의 20번째 독집음반인 [Life On Air(라이프 온 에어)]를 전격 발매했다. 이번 앨범은 국내에서는 그간 잘 시도되지 않았던 멘트와 노래가 공존하는 ‘라디오 컨셉트’로 알려졌다. 아무래도 임형주가 지난 2021년 4월부터 지난달 27일까지 햇수로 약 3년여간 cpbc(가톨릭평화방송) FM라디오(105.3MHz)에서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매일 저녁 방송하였던 음악프로그램인 ‘임형주의 너에게 주는 노래’의 메인 DJ로서 활약했었던 점이 앨범의 초기 기획단계부터 큰 영감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기..

모차르트 : 기뻐하라, 환호하라(Exsultate, jubilate), K165 - 4. 알렐루야(Alleluia)

Exsultate, jubilate, K. 165 - 4. Alleluia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1773년에 이탈리아에 간 모차르트는 오스트리아 교회음악에 비해 이탈리아 교회음악이 오페라의 영향을 받아 기교적으로 훨씬 세련되어 있음을 보고, 화려한 콜로라투라 기교를 돋보이게 하는 모테트를 작곡하게 되었습니다. 이 작품이 바로 ‘기뻐하라, 환호하라 (Exultate, jubilate!)’입니다 모차르트의 '엑술따떼 유빌라떼'는 1773년 1월 작곡돼 테아티노 수도회 미사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2개의 아리아와 그 사이의 레치타티보, 그리고 마지막의 알렐루야로 이뤄져 있는데 이 곡의 마지막 알레그로가 그 유명한 ‘알렐루야’입니다. '엑술따떼, 유빌라떼'는 14분이 ..

모차르트 : 기뻐하라, 환호하라(Exsultate, jubilate), K.165 [Julia Lezhneva]

Exsultate, jubilate, K.165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의 모테트 엑술따떼 유빌라떼는 1773년 1월 작곡돼 테아티노 수도회 미사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2개의 아리아와 그 사이의 레치타티보, 그리고 마지막의 알렐루야로 이뤄져 있다. 작사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악기들과 소프라노 한 사람의 연주로 이루어지는데, 대단한 성악적 기교를 요구하는 알렐루야가 특히 유명하다. 모짜르트는 당시 자신의 오페라에서 주인공을 맡았던 카스트라토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거세남성 가수)라우치니를 위해 이 곡을 작곡했다. 이 는 14분이 넘는 매우 긴 곡인데, 그 때문인지는 잘모르겠지만 맨 뒷부분인 만 따로 불려지는 경우도 꽤 있다. 부분은 채 3분이..

모차르트 : 기뻐하라, 환호하라(Exsultate, jubilate), K.165 [Cecilia Bartoli]

Exsultate, jubilate, K.165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의 모테트 엑술따떼 유빌라떼는 1773년 1월 작곡돼 테아티노 수도회 미사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2개의 아리아와 그 사이의 레치타티보, 그리고 마지막의 알렐루야로 이뤄져 있다. 작사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악기들과 소프라노 한 사람의 연주로 이루어지는데, 대단한 성악적 기교를 요구하는 알렐루야가 특히 유명하다. 모짜르트는 당시 자신의 오페라에서 주인공을 맡았던 카스트라토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거세남성 가수)라우치니를 위해 이 곡을 작곡했다. 이 는 14분이 넘는 매우 긴 곡인데, 그 때문인지는 잘모르겠지만 맨 뒷부분인 만 따로 불려지는 경우도 꽤 있다. 부분은 채 3분이..

모차르트 : 기뻐하라, 환호하라(Exsultate, jubilate), K.165 [Emma Kirkby]

Exsultate, jubilate, K.165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모차르트의 모테트 엑술따떼 유빌라떼는 1773년 1월 작곡돼 테아티노 수도회 미사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2개의 아리아와 그 사이의 레치타티보, 그리고 마지막의 알렐루야로 이뤄져 있다. 작사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악기들과 소프라노 한 사람의 연주로 이루어지는데, 대단한 성악적 기교를 요구하는 알렐루야가 특히 유명하다. 모짜르트는 당시 자신의 오페라에서 주인공을 맡았던 카스트라토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거세남성 가수)라우치니를 위해 이 곡을 작곡했다. 이 는 14분이 넘는 매우 긴 곡인데, 그 때문인지는 잘모르겠지만 맨 뒷부분인 만 따로 불려지는 경우도 꽤 있다. 부분은 채 3분이..

모차르트 : 아베 베룸 코르푸스, K.618

Ave verum corpus, K. 618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엑술타테 유빌라테와 함께 모차르트의 가장 유명한 모테트인데, 1791년 죽음을 6개월 앞두고 작곡된 이 작품에 대해 파움가르트너는 "모차르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드높고 숭고한 작품이라면 이 모테트를 꼽아야 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모차르트는 한동안 종교음악을 작곡하지 않았으나, 합창 지휘자 안톤 슈톨(Anton Stoll)의 의뢰를 받고 이 곡을 작곡했는데 슈톨은 모차르트와 친한 사이였고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가 바덴에서 요양하고 있을 때는 여러 모로 돌봐주기도 했던 사람이다. 아주 짧은 곡이면서도 모든 면에서 원숙한 모차르트의 기량이 남김없이 개화된 걸작으로 꼽힌다. 아베 베룸 코르푸..

모차르트 : 대관식 미사 (Mass Coronation), K.317 [Christopher Hogwood]

Mass In C, K.317 "Coronatio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Emma Kirkby · Catherine Robbin John Mark Ainsley · Michael George Winchester Cathedral Choir Winchester College Quiristers Academy of Ancient Music Christopher Hogwood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는 1779년 잘츠부르크 근교 마리아 프라인 교회의 성모상 대관식을 위해 작곡되었다. 종전 미사곡과는 달리 대규모 악기 편성 등을 통해 규모가 크고 웅장하여 활기차고 장대한 느낌을 주는데 특히 1번 키리에의 소프라노, 테너의 이중창과 6번 아누스데이의 소프라노 독창은 모차..

모차르트 : 대관식 미사 (Mass Coronation), K.317 [James Levine]

Mass In C, K.317 "Coronatio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Sylvia McNair · Delores Ziegler · Hans Peter Blochwitz · Andreas Schmidt · Sigurd Brauns · RIAS Kammerchor · Marcus Creed Berliner Philharmoniker James Levine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는 1779년 잘츠부르크 근교 마리아 프라인 교회의 성모상 대관식을 위해 작곡되었다. 종전 미사곡과는 달리 대규모 악기 편성 등을 통해 규모가 크고 웅장하여 활기차고 장대한 느낌을 주는데 특히 1번 키리에의 소프라노, 테너의 이중창과 6번 아누스데이의 소프라노 독창은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

모차르트 : 대관식 미사 (Mass Coronation), K.317 [Herbert Von Karajan]

Mass In C, K.317 "Coronatio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Kathleen Battle · Trudeliese Schmidt · Gösta Winbergh · Ferruccio Furlanetto Wiener Singverein · Wie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는 여러 명연들이 있지만 가장 유명하고 기념적인 음반은 1985년 6월29일(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에 있었던 카라얀 / 빈 필의 실황녹음(교황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집전) 음반이라 할 수 있다. 1985년 로마 바티칸에서 열린 교황의 집전 미사에 연주한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는 몇 가지 역사적 의미에서 중요한 ..

모차르트 : 대미사 C단조, K.427 [Sir Neville Marriner]

Mass in C Minor, K. 427 "Grosse Messe"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Kanawa · Otter · Rolfe Johnson · Lloyd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Chorus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Sir Neville Marriner 1. Kyrie (Andante moderato: Chorus and Soprano) 2. Gloria: Gloria in excelsis Deo (Allegro vivace: Chorus) 3. Gloria: Laudamus te (Allegro aperto: Soprano II) 4. Gloria: Gratias agimu..

모차르트 : 대미사 C단조, K.427 [Herbert von Karajan]

Mass In C Minor, K.427 "Große Messe"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Herbert von Karajan, Berliner Philharmoniker Barbara Hendricks, Janet Perry, David Bell, Wiener Singverein 1. Kyrie (Andante moderato: Chorus and Soprano) 2a. Gloria: Gloria in excelsis Deo (Allegro vivace: Chorus) 2b. Gloria: Laudamus te (Allegro aperto: Soprano II) 2c. Gloria: Gratias agimus tibi (Adagio: Chorus) 2d. Glo..

모차르트 : 대미사 C단조, K.427 [John Eliot Gardiner]

Mass in C Minor, K. 427 "Grosse Messe"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John Eliot Gardiner English Baroque soloists Monteverdi Choir Sylvia McNair, sopran Diana Montague, sopran Anthony Rolfe Johnson, tenor Cornelius Hauptmann, bass 1. Kyrie (Andante moderato: Chorus and Soprano) 2a. Gloria: Gloria in excelsis Deo (Allegro vivace: Chorus) 2b. Gloria: Laudamus te (Allegro aperto: Soprano II)..

비발디 : 12 바이올린 협주곡 "La Stravaganza", Op 4 [Rachel Podger]

12 Violin Concertos,Op.4 `La Stravaganza´ Antonio Vivaldi, 1678∼1741 1712년 - 1713년에 작곡되었으며 1716년에 출판되었다. 12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협주 모음곡으로 알레그로 - 라르고 - 알레그로 의 협주곡형식을 사용하고 있다. 모든 곡들이 솔로 바이올린과 관현악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비발디의 놀라운 창의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어떠한 의도로 "스트라바간자"라는 부제를 붙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탈리아어의 스트라바간자의 뜻은 "기묘한" , "미친듯한 행동" 등을 의미하고 있다. Rachel Podger & Arte Dei Suonatori 01 – Concerto in B Flat, Opus 4 No. 1 – Alle..

쇼스타코비치 : 현악4중주 8번, Op.110 [Borodin Quartet]

String Quartet No. 8 in C Minor, Op. 110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쇼스타코비치는 1938년에서 1975년까지 15개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다. 15곡의 교향곡과 더불어 그의 작품 세계를 대표한 이 곡은 작곡된 시기의 러시아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져 있다.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가 많아 서정적인 것, 극적인 것, 이성적인 것 등 다양하다. 1960년에 작곡된 쇼스타코비치의 현악 4중주 작품 중 8번은 그 원작뿐만 아니라 보로딘 쿼텟의 창단 멤버였던 루돌프 바르샤이의 현악 합주단용 편곡 작품까지도 매우 유명하다. 현악 4중주 8번은 바쳐진 작품이다. 이미 작곡된 교향곡 제1, 5, 10번, 피아노 3중주곡, 첼로 협주곡 제1번 및 오페라..

쇼스타코비치 : 현악 4중주 전곡 [Brodsky Quartet]

The String Quartets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쇼스타코비치는 1938년에서 1975년까지 15개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다. 15곡의 교향곡과 더불어 그의 작품 세계를 대표한 이 곡은 작곡된 시기의 러시아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져 있다.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가 많아 서정적인 것, 극적인 것, 이성적인 것 등 다양하다. 표현은 대체로 간결, 명쾌하며 반음계 진행이 많고 그리이스 선법, 유태 선법, 러시아 민요 선법 등을 사용하는 독창성을 나타내 보였다. 01. Shostakovich : String Quartet No.1 in C major Op.49 : I Moderato 02. Shostakovich : String Quartet No.1 in C ..

쇼스타코비치: 현악 4중주 전곡 [Emerson String Quartet]

The String Quartets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쇼스타코비치는 1938년에서 1975년까지 15개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다. 15곡의 교향곡과 더불어 그의 작품 세계를 대표한 이 곡은 작곡된 시기의 러시아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져 있다.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가 많아 서정적인 것, 극적인 것, 이성적인 것 등 다양하다. 표현은 대체로 간결, 명쾌하며 반음계 진행이 많고 그리이스 선법, 유태 선법, 러시아 민요 선법 등을 사용하는 독창성을 나타내 보였다. 01. String Quartet No.1 in C, Op.49: 1. Moderato 02. String Quartet No.1 in C, Op.49: 2. Moderato 03. String Qu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