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fael Kubelik 17

드보르작 : 슬라브 무곡, Op.72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Rafael Kubelík]

8 Slavonic Dances, Op. 72, B. 147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안토닌 드보르자크가 슬라브 무곡 1집(Op.46)의 후속편으로 완성한 곡이다. Op.46에 비해 세련되고 원숙한 작품으로 평가 받으며 큰 인기를 누렸다. 1878년 《슬라브 무곡 1집 Slavonic Dances, Op. 46》은 유럽 각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1879년에는 독일과 영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려 피아노 연탄용 악보가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 이에 고무된 짐로크 음악 출판사(Simrock music publishing firm)는 후속편의 작곡을 의뢰했는데, 드보르자크의 관심이 대곡 작곡에 가 있었기 때문에 작업은 지연되었다. 이윽고 1886년 6월 9일 작곡에 착수..

드보르작 : 슬라브 무곡, Op.46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Rafael Kubelík]

8 Slavonic Dances, Op. 46, B. 83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안토닌 드보르자크가 슬라브 민족의 정서를 바탕으로 완성한 8곡의 무곡으로, 체코 무곡의 정수로 꼽힌다. 이 곡의 성공으로 두 번째 슬라브 무곡집도 작곡되었다. 1878년 초 브람스의 추천에 힘입어 드보르자크의 〈모라비아의 이중창(Moravske dvojzpevy, Op.32)〉악보가 베를린의 짐로크 음악 출판사(Simrock music publishing firm)를 통해 출판되었다. 악보는 예상 밖의 성공을 거두었고, 평단의 호평도 받았다. 이에 고무된 짐로크사는 드보르자크에게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Hungarian Dances〉과 비슷한 피아노 연탄곡 형식의 슬라브 무곡 작곡을 요청했다. 그..

드보르작 : 슬라브 무곡, Op.46 & Op.72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Rafael Kubelík]

Slavonic Dances Opp.46 & 72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1873년에 결혼한 직후 성 보이체프 교회 오르간 주자가 된 드보르자크는음악적 스승이라 할 수 있는 스메타나(드보르자크는 프라하 국민극장의 전신인 가설극장의 오케스트라에서 몇 년 동안 비올라 주자로 있으면서 스메타나의 지휘로 많은 음악을 연주했다)의 뒤를 이어 체코 국민음악의 확립을 위해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쳤지만, 수입은 적어 일가족이 입에 풀칠하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러던 차에 오스트리아 정부가 예술가를 위한 국비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드보르자크는 [교향곡 3번]과 [4번], 몇 편의 실내악곡을 장학금 수상자격 심사위원회에 제출했고, 1875년 초에 장학금 수상을 통고받았다..

슈만 : 교향곡 제4번, Op.120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4 in D Minor, Op. 120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슈만의 생애에서 클라라와 결혼한 이듬해인 1841년은 '교향곡의 해'로 일컬어진다. 그 해에 슈만은 두 편의 교향곡과 하나의 ‘작은 교향곡(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 그리고 [피아노 협주곡 a단조]의 모태가 되는 단악장의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등 관현악곡들을 집중적으로 작곡했기 때문이다. 그 일련의 작업들은 클라라와의 결합을 통해서 슈만이 새로이 얻은 희망과 자신감의 발로였고, 동시에 작곡가로서 보다 원대한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그의 포부와 의지의 표현이었다. 여기에 소개하는 [교향곡 제4번 d단조] 역시 ‘교향곡의 해’에 탄생한 작품이다. 다만 이 곡이 슈만..

슈만 : 교향곡 제3번, Op.97《라인》[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3 in E-Flat Major, Op. 97 "Rhenish"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라인강은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북해로 흘러드는 유럽 굴지의 하천이다. 스위스·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독일·프랑스·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를 거치지만 독일을 흐르는 부분이 가장 길기 때문에 예로부터 ‘독일의 강’, 나아가 ‘독일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무엇보다 이 강은 고대 로마 시대 이래로 독일 역사와 전설의 주요 무대였다. 유명한 ‘로렐라이의 전설’, 중세의 영웅 서사시 ‘니벨룽의 노래’ 등이 모두 이 강을 따라 흐르고 있다. 그런 라인강을 독일인들은 ‘아버지 라인(Vater Rhein)’이라고 부른다. 슈만이 [라인 교향곡]을 작곡한 것은 1850년..

슈만 : 교향곡 제2번, Op.61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2 in C Major, Op. 61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슈만은 또다시 찾아온 신경쇠약에서 회복된 1845년에 교향곡 제2번을 쓰기 시작했다. 아마 작곡이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가 피날레를 작곡할 즈음에는 정상으로 돌아온 듯 느끼기 시작했으며 교향곡을 완성했을 때는 ‘훨씬 나아졌기’ 때문이다. 암흑을 벗어나 빛을 찾는 이 여정이 음악에 그대로 옮겨져 곡에 내재된 감정적 힘이 되었다. 시작부터 트럼펫 소리가 좌중을 압도한다. 슈만은 그 소리가 투병 중에 항상 주위를 맴돌았다고 말했다. 사실 1악장은 전체적으로 불안하며 리듬은 긴장되어 있고 선율의 반복에 집착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주목할 점은 곡을 관통하..

슈만 : 교향곡 제1번, Op.38 《봄》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1 in B-Flat Major, Op. 38 "Spring"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음악가로서 슈만이 처음 시작한 경력은 피아니스트로서였다. 작곡도 시도하기는 했지만 그가 본격적으로 작곡에 전념하게 된 것은 과도한 피아노 연습으로 손가락을 다친 뒤부터였다. 아무래도 익숙한 영역에서 시작하는 게 편했던지 그의 초기작은 대부분 피아노곡이었다. 그러다 1840년에 이르러 다른 영역에 본격적으로 손을 대기 시작해, 1840년에는 가곡을 백 수십 곡 작곡했고(그래서 이 해를 슈만의 ‘가곡의 해’라 부른다) 이듬해인 1841년(‘교향곡의 해’)에는 [교향곡 1번]과 (처음에는 교향곡으로 구상되었던)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 [교향곡 D단조](..

슈만 : 4개의 교향곡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The 4 Symphonies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교향곡 제1번 슈만의 교향곡은 4곡이 있는데 그의 직접 선배인 하이든과 모차르트 보다 베토벤의 작품에 더 가깝다. 30세에 클라라 슈만과 결혼하고 그 다음 해인 1841년(31세)에 작곡했다. 스승이자 장인어른인 비크의 반대로 오랫동안 고민하던 사랑의 결실은 그에게 있어 인생의 봄이 되었을 것이다. 넘치는 행복감을 곡으로 나타냈으며 슈만 자신이 “봄의 교향곡”이라고 이름 했다. 슈만의 생애 최고의 시기를 연상 시키는 곡이다. 1841년 3월 31일 멘델스존의 지휘로 게반트하우스에서 초연했다. 제 1악장 Bb장조 4/4박자(도입부), 2/4박자(주부) 소나타 형식 트럼펫과 호른의 합주로 시작하여 오케스트라가 반..

드보르작 : 교향곡 제9번 E단조, Op.95 《신세계로부터》[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9 in E Minor, Op. 95, B. 178, "From the New World"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운명」, 「미완성」, 「비창」과 나란히 널리 알려진 명작이다. 특히 제2악장 라르고 중의 향수를 달래는 듯한 명선율은 「꿈 속의 고향」이나 그 밖의 이름으로 독립해서 연주되는데 이 곡이 세계적으로 애호되는 가장 큰 이유이다. 1892년 드보르자크(체코슬로바키아)는 뉴욕의 내셔널 음악원 원장으로 임명되어 미국으로 건너 갔다. 체미중에 그는 기회를 봐서 흑인 영가나 인디언 민요를 스케치하며 신작 준비에 여념이 없었다. 이러한 소박한 가락은 뉴욕의 대도시에 내버려진 보헤미아 사람들에게 적지 않은 향수를 불러일으켰음에 틀림없다. 흑인 영가나 인디언..

드보르작 : 교향곡 제8번 G장조, Op.70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8 in G Major, Op. 88, B. 163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영국에서 출판되어 영국이란 부제가 붙어진 이 작품은 1889년(48세)에 작곡되었다. 이것은 그때까지 브람스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창적인 개성이 발휘된 작품이다. 흙냄새 풍기는 소박하고 목가적이며 아름다운 선율 속에 보히미안적인 정열과 애수가 넘치는 이곡은 그의 교향곡 중 신세계 교향곡 다음가는 인기를 지닌 원숙기의 작품이다. 1악장 Allegro con brio, 4/4 박자, G 장조. 소나타 형식. 제1 주제의 G 단조 선율이 첼로, 클라리넷, 호른으로 시작됨. 이후 플루트가 또다른 제1 주제 악구를 연주함. B 단조의 제2 주제 1악구와 B 장조 제2 주제 2악구는 ..

드보르작 : 교향곡 제7번 D단조, Op.70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7 in D Minor, Op. 70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1870년대 말 드보르작은 국제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자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의뢰가 들어왔다. 특히 1880년대 영국에서 성공을 거두며 명성을 더욱 굳건히 다지게 되었다. 영국의 청중들은 드보르작의 《스타바트 마테르》에 열광했으며, 엘가는 그의 교향곡 제6번을 유난히 좋아했다. 대규모 합창 제전에서 연주할 곡을 만들어 달라며 버밍엄과 리즈 등 영국 각지에서 의뢰를 해 와 그는 칸타타, 오라토리오, 레퀴엠 미사곡을 작곡했다. 당시 작곡한 작품 중에서도 런던필하모닉협회가 의뢰한 교향곡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이 의뢰로 작곡한 교향곡 제7번이 드보르작의 최고의 교향곡이기 때문이다. 드보르작은 런던..

드보르작 : 교향곡 제6번 D장조, Op.60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6 in D Major, Op. 60, B. 112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드보르작(Dvorak)의 교향곡은 제9번을 정점으로 제7번과 제8번이 걸작이고, 가장 많이 연주-녹음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그의 초기 교향곡은 큰 인기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브람스의 교향곡 제2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제6번은 독립하여 감상할만한 곡이다. 드보르작다운 체코 민요풍 선율과 리듬이 고전적 틀 속에 아름답게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6번의 기조는 밝고 건강하다. 멜랑콜리한 둘째 악장도 결코 감상이나 슬픔에 빠지지 않는다. 여기에는 젊음의 자신감과 꿈이 새싹을 돋우려는 것처럼 꿈틀거리고 있다. I. Allegro non tanto II. Adagio I..

드보르작 : 교향곡 제5번 F장조, Op.76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5 in F Major, Op. 76, B. 54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이 교향곡5번은 원래 드보르작에 의해 작품 24라고 하는 작품번호가 주어졌는데 출판사인 베를린의 짐록사에서 이를 무시하고 작품 76으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또한 프라하에서 그의 유작 교향곡 4개가 발견되어 연대순으로 번호와 작품번호를 다시 변경하였다. 1875년 7월에 프라하에서 완성되었으며 1879년 3월 25일에 프라하에서 초연된 이 곡은 브람스의 작풍에 접근을 보이고 있으면서 동시에 체코적인 의식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I. Allegro, ma non troppo II. Andante con moto III. Andante con moto - Allegro scher..

드보르작 : 교향곡 제4번 D단조, Op.13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4 in D Minor, Op. 13, B. 41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드보르작의 교향곡4번은 1874년에 작곡되었다. 드보르작 교향곡3번과 4번은 오스트리아 정부로 부터 장학금을 받기 위해서 작곡되었으며, 이 교향곡4번부터는 선배 작곡가인 리스트나 바그너의 작풍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I. Allegro II. Andante sostenuto e molto cantabile III. Scherzo (Allegro feroce) IV. Finale (Allegro con brio)

드보르작 : 교향곡 제3번 Eb장조, Op.10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3 in E-Flat Major, Op. 10, B. 34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드보르작의 교향곡 제3번인 이 곡은 1873년 4월부터 7월에 걸쳐 작곡되었으며 초연은 1874년 3월 29일 프라하에서 스메타나의 지휘로 프라하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드보르작은 1873년 3월에 초연된 "빌라호라의 후계자들" 이라는 하레크시에 붙인 찬가가 성공, 그리고 결혼등 그의 생활이 안정되면서 의욕적으로 이 교향곡3번을 작곡하였다. I. Allegro moderato II. Adagio molto, tempo di marcia III. Finale (Allegro vivace)

드보르작 : 교향곡 제2번 Bb장조, Op.4 [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2 in B-Flat Major, Op. 4, B. 12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교향곡 제2번은 아직 드보르작의 개성이 완성된 시기의 작품이 아니라서 리스트나 바그너의 그림자를 느낄 수 있으며 베토벤의 교향곡 제6번 전원의 분위기도 나타난다. 작곡연도: 1865년 8월 1일 ~ 10월 9일 완성. 작곡장소: 프라하. 악기편성: 피콜로, 플루트 2(제2는 피콜로 겸함),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팀파니, 현5부. I. Allegro con moto II. Poco adagio III. Scherzo (Allegro con brio) IV. Finale (Allegro con fuoco)

드보르작 : 교향곡 제1번 C단조, Op.3 《즐로니체의 종》[Berliner Philharmoniker · Rafael Kubelik]

Symphony No. 1 in C Minor, Op. 3, B. 9 - "The Bells of Zlonice Antonín Dvořák, 1841 ~ 1904 드보르작의 교향곡 1번은 1865년 작곡된 것으로 전해진다. 고전적인 형식으로 베토벤 5번의 형식을 따랐다고 하는데, 이 곡은 독일의 어떤 콩쿠르에 출품되었으나 낙선 되었고 악보조차 반환되지 않았다가 우연히 고서점에서 발견되어 1936년에 공식적인 초연을 했다고 한다. 표제는 '즐로니체의 종'인데 즐로니체는 부다페스트 인근의 도시로 드보르작이 음악을 배웠던 추억으로 명명한 것으로 음악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알려졌다. 드보르작의 교향곡으로 유명한 것은 9번 신세계가 으뜸이고 8번 g-moll 이 버금이라 하지만, 1번 교향곡의 경우는 그 형식의 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