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현악모음곡 8

[클래식명곡] 바흐 : 관현악 모음곡 3번 중 제2번 "에어" (G선상의 아리아)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3 In D, BWV 1068 - 2. Air 원래 J.S. 바하의 작품 어디에서 `G선상의 아리아`란 곡명은 없다.사실은 그의 `관현악 모음곡` 제3번의 두번째 곡이다. 바하는 32세 때부터 37세까지 약 5년동안 코텐의 궁정악장을 지낸 일이 있었다. 이 무렵은 그가 주로 기악곡에만 열중한 시기였다. 특히 갖가지 무곡을 모아 엮은 `관현악 모음곡`은 오늘날에도 꾸준한 애호가들이 많아 흔히 연주가 되고 있지만, 그런 곡을 4곡 썼다. 그중 매혹적인 플룻 독주가 들어 있는 제2번과 함께 널리 알려져 있는 곡이 이 제3번이다. 느림,빠름,느림의 장중한 서곡에 이어 `아리아` `가보트` `부레` `지그`의 5곡으로 ..

바흐 : 관현악 모음곡 제3번 D장조, BWV 1068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 Sir Neville Marriner]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 3 in D Major, BWV 1068 이 모음곡의 편성은 오보에 · 트럼펫 · 큰북의 파트와 통상의 현악 파트로 이뤄지고, 장엄한 악상과 경건한 선율이 풍부하며, 바흐의 모음곡 중 가장 알려진 명곡이다. 특히, 아리아는 후에 빌헬르미의 편곡에 의해 「G선상의 아리아」라 일컬어지고 바이올린 독주곡 등에 의해서 명곡의 하나로 꼽히기에 이르렀다. 전곡은 서곡 · 아리아 · 가보트 · 부레 · 지그의 5부로 나뉘어 각각 힘찬 표현으로 다가온다. 「G선상의 아리아」는 풍부하고 폭넓은 악음(樂音)이 맑고 유유히 흘러 참으로 심원하다. 1. Ouverture 2. Air 3. Gavotte I-II 4. Bourrée..

바흐 : 관현악 모음곡 2번 중 "제7번 바디네리" [Sir Neville Marriner, James Galwa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 2 in B minor, BWV 1067 : VII. Badinerie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은 네 곡이지만, 그 가운데서 플푸트와 현악 합주에 의한 2번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관현악 모음곡"이라는 명칭은 바흐가 아닌 후세의 사람들 이 붙인 것으로 당시에는 그저 서곡이라고 불렀던 듯합니다. 왜냐하면 네 곡이 다 프랑스풍의 서곡을 1곡에 둔 몇 곡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 춤곡의 프랑스 명칭으로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프랑스 궁정에서 세련되고 화려한 춤곡과 바흐를 낳아서 기른 독일의 풍토 속에서 발전해 온 민중적인 무용 음악이 여기에서 합류되었다고 볼 수 있..

바흐 : 관현악 모음곡 2번 중 "제6번 미뉴에트" [Sir Neville Marriner, James Galwa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 2 in B minor, BWV 1067 : VI. Menuet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은 네 곡이지만, 그 가운데서 플푸트와 현악 합주에 의한 2번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관현악 모음곡"이라는 명칭은 바흐가 아닌 후세의 사람들 이 붙인 것으로 당시에는 그저 서곡이라고 불렀던 듯합니다. 왜냐하면 네 곡이 다 프랑스풍의 서곡을 1곡에 둔 몇 곡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 춤곡의 프랑스 명칭으로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프랑스 궁정에서 세련되고 화려한 춤곡과 바흐를 낳아서 기른 독일의 풍토 속에서 발전해 온 민중적인 무용 음악이 여기에서 합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흐 : 관현악 모음곡 2번 중 "제5번 폴로네즈" [Sir Neville Marriner, James Galwa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 2 in B minor, BWV 1067 : V. Polonaise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은 네 곡이지만, 그 가운데서 플푸트와 현악 합주에 의한 2번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관현악 모음곡"이라는 명칭은 바흐가 아닌 후세의 사람들 이 붙인 것으로 당시에는 그저 서곡이라고 불렀던 듯합니다. 왜냐하면 네 곡이 다 프랑스풍의 서곡을 1곡에 둔 몇 곡의 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 춤곡의 프랑스 명칭으로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프랑스 궁정에서 세련되고 화려한 춤곡과 바흐를 낳아서 기른 독일의 풍토 속에서 발전해 온 민중적인 무용 음악이 여기에서 합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

바흐 :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 1067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 Sir Neville Marriner]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 No. 2 in B Minor, BWV 1067 J. S. 바흐(독일)에게는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이 4곡 남아 있다. 어느 것이나 쾨텐 시대의 작품이며 레오폴트 공의 관현악단에 의한 연주를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당시의 모음곡의 표준적인 구성은 서곡 또는 전주곡에 알르망드 · 사라반드 등 몇 곡의 춤곡, 혹은 「제3번」처럼 아리아를 도입한 것이다. 악상도 악기 편성도 4곡이 모두 다르지만 당시의 귀족 문화가 이상으로 삼았던 우아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점에는 틀림없다. 「제2번」은 플루트를 중심 악기로 하고 바이올린 2부, 비올라, 콘티누오에 의한 편성이며 마치 플루트 협주곡처럼 이 악기의 화려한 연주 효과를 발휘한 명..

바흐 : 관현악 모음곡, BWV 1066~1069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 Sir Neville Marriner]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s BWV 1066 - 1069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BWV 1066~1069]은 여러 가지 점에서 모순적인 작품이다. 독일적인 다성음악의 특징이 나타나면서도 프랑스 궁정 풍의 세련되고 우아한 양식이 공존하는가 하면, ‘모음곡’(suite) 장르로 분류되면서도 전통 모음곡이 갖추어야할 틀을 갖추지 않았으며, 자필악보의 분실로 작곡 동기나 작곡 연대가 불분명해 여러 가지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바로 이런 모순적이고 불확실한 점이야말로 이 작품의 특별한 점이다. [모음곡 제1번]은 2대의 오보에와 바순, 현악을 위한 작품으로, 오보에의 활약이 크다. 전통적인 모음곡이라면 서곡 이후에 독일 춤곡 ‘알르망드’가 나온 ..

바흐 : 관현악 모음곡, BWV 1066~1069 [The English Concert · Trevor Pinnock]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chestral Suites BWV 1066 - 1069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BWV 1066~1069]은 여러 가지 점에서 모순적인 작품이다. 독일적인 다성음악의 특징이 나타나면서도 프랑스 궁정 풍의 세련되고 우아한 양식이 공존하는가 하면, ‘모음곡’(suite) 장르로 분류되면서도 전통 모음곡이 갖추어야할 틀을 갖추지 않았으며, 자필악보의 분실로 작곡 동기나 작곡 연대가 불분명해 여러 가지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바로 이런 모순적이고 불확실한 점이야말로 이 작품의 특별한 점이다. [모음곡 제1번]은 2대의 오보에와 바순, 현악을 위한 작품으로, 오보에의 활약이 크다. 전통적인 모음곡이라면 서곡 이후에 독일 춤곡 ‘알르망드’가 나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