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감상 2388

프랑크 : 피아노 5중주 F단조, Op.14 [Prazak Quartet · François Dumont ]

Piano Quintet in F Minor, Op. 14 Cesar Franck, 1822 ~ 1890 세자르 프랑크가 그의 생애를 통해서 처음으로 청중의 박수를 받고 전문가들의 찬사를 받은 것은 1890년의 일이었다. 프랑스 국민음악협회 주최로 열린음악회에서 그의 현악4중주곡이 초연됐을 때, 청중들은 기립 박수로 그에게 환호를 보냈고 평론가들은 처음으로 찬사의 표현을 썼던 것이다. 70세가 거의 다되어서야 세상의 인정을 받은 셈인데, "이제서야 세상 사람들이 나를 이해하기시작 했구먼"이라고 그 자신도 흐뭇하게 생각 했었다고 한다. 피아노 5중주곡 바 단조는 현악4중주곡보다 약 10년전인 1879년에 완성된 작품인데, 그의 교향곡 라 단조의 경우처럼 전곡을 통일 시키는 '순환주제'를 사용하고 있는 작품..

포레스텔라 (Forestella) - 넬라 판타지아(Nella Fantasia) [듣기/가사/번역]

JTBC 팬텀싱어 시즌2 우승을 하며 대한민국 대표 크로스오버 아이돌그룹으로 활동하고 있는 포레스텔라가 2집 [Mystique] 활동 후 1년 만에 새로운 미니 앨범으로 돌아온다. 이번 미니 앨범의 선 공개 싱글인 [넬라 판타지아]는 어렵고 힘든 삶의 순간에서도 인류가 꿈꾸는 아름다운 세상을 노래하며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Nella fantasia io vedo un mondo giusto, Li tutti vivono in pace e in onesta. Io sogno d'anime che sono sempre libere, Come le nuvole che volano, Pien' d'umanita in fondo all'anima. 환상 속에서 나는 정의로운 세계를..

[클래식명곡] 쇼팽 : 녹턴(야상곡) 21번 C단조, Op. posth. [Maria João Pires · 백건우 · Daniel Barenboim]

Nocturne No.21 In C Minor, Op. posth. Frederic Chopin, 1810∼1849 유작 2 번(KKIVb-8), 이 녹턴은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Eb 장조와 하나로 묶여져 루트비히 브로나르스키의 편집으로 1938년 바르샤바에서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브로나르스키는 작곡 시기를 바르샤바 시대인 1830년 이전으로 보고 있으며, 야히메츠키는 1825년, 시도우는 1827년 설을 내고 있다. 작곡 연대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출판은 1938년. 속도 표시가 없고 두개의 소재를 바탕으 로 자유롭게 거의 멈추지 않고 전개된다. Chopin: Nocturne No. 21 in C Minor, Op. Posth. · Maria João Pires Chopin: Nocturne No..

[클래식명곡] 쇼팽 : 녹턴(야상곡) 20번 C#단조, Op. posth. [Janusz Olejniczak · Daniel Barenboim · Vladimir Ashkenazy · 백건우]

Nocturne No. 20 in C-sharp minor, Op. posth. Frederic Chopin, 1810∼1849 이 곡은 영화 를 통해 더욱 더 유명해진 아름다운 곡입니다. 이 곡은 '렌토 콘 그란 에스프레시오네(느리게, 풍부한 표정으로)' 라고 적혀있지만 일반적으로 으로 잘 알려져 있는 곡입니다. 이 곡 중간부분에서는 피아노 협주곡 제 2번 F단조에서 차용한 선율이 사용되고 있는데 누나 루드비카가 말하기를 피아노 협주곡 제 2번을 연습하기 전에 치도록 하기 위해 이 작품을 작곡했다고 전해집니다. 첫번째 악보에서는 그 부분이 협주곡과 같은 동일한 3/4박자로 되어있고, 그것에 붙여진 반주 부분은 4/4박자로 되어있습니다. 작곡은 1830년 봄입니다. 쇼팽의 사후 그의 유물 중에서 발견된 ..

[클래식명곡] 쇼팽 : 녹턴(야상곡) 2번 Eb장조, Op. 9 No. 2 [Maria João Pires · 백건우 · Daniel Barenboim · 조성진]

Nocturne No. 2 in E-Flat Major, Op. 9 No. 2 Frederic Chopin, 1810∼1849 야상곡은 영어의 녹턴(Nocturn), 프랑스어의 녹튀른(Nocturne), 이탈리아어의 노투르노(Notturno) 를 번역한 말입니다. 녹턴이라는 이름의 소품으로 독자적인 작품을 만들어낸 사람은 영국의 존 필드(1782-1837) 였습니다. 그의 녹턴이 갖는 특징은 곡의 분위기에 있는데, 저음부의 화성적 반주형 위에 고음부가 밤의 정적과 꿈꾸는 듯한 마음을 표현하는 우아한 선율을 연주합니다. 그는 이 형식으로 일생동안 약 20곡의 야상곡을 작곡했습니다. 쇼팽은 전 생애를 통해 21곡의 녹턴을 작곡했습니다. 그 중 18곡은 각각 두 곡 내지 세 곡으로 묶여 그의 생전에 간행되었습..

[클래식명곡] 브람스 : 헝가리 무곡 5번 [Claudio Abbado · Herbert von Karajan · Julius Katchen]

21 Hungarian Dances, WoO 1 - No. 5 in G Minor: Allegro Johannes Brahms 1833∼1897 브람스는 20세 때 그의 고향 함부르크에 정치적인 이유로 망명해온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 레메니와 함께 연주 여행을 하면서 그에게서 헝가리의 음악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다. 특히 헝가리 무곡에 깊은 관심을 가지면서 작품에도 헝가리 음악을 인용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곡이 바로 이 헝가리무곡이다. '헝가리 무곡'은 4권 21곡으로 1869년에 1, 2권(1번부터 10번까지)이 발표되었으며 1880년에 나머지 두 권이 발표되었다. 이중 제1, 제4, 제5, 제6번 곡이 가장 유명하며 여기에 실린 곡은 제5번 곡이다. '헝가리 무곡'은 헝가리적 요소가 강하게 배어나..

브람스 : 헝가리 무곡 (관현악 버전) [Wiener Philharmoniker · Claudio Abbado]

21 Hungarian Dances, WoO 1 Johannes Brahms 1833∼1897 브람스가 헝가리의 집시 음악에 관심을 가진 것은 헝가리의 바이올린 연주가 에드알트 레메니와 함께 연주여행을 다닐 때였다. 그가 음악을 연주하면 그 느낌을 조금씩 메모해 두었다가 곡으로 완성 시킨 것이 헝가리 무곡이다. 헝가리의 집시 음악적 요소를 많이 도입한 은 유랑 민족 집시들의 음악을 소재로 탄생 되었으며 피아노 연탄곡으로 꾸며져 전부 4권으로 되어있다. 1869년 제 1·2집 10곡을, 80년 제 3·4집 11곡을 각각 출판하였다. 앞의 것은 그가 수집·정리한 헝가리 집시음악을 피아노 연탄용(聯彈用)으로 편곡한 것이 대부분이고 뒤의 것은 그의 창작작품도 포함되어 있으며 헝가리풍이라기보다 브람스풍의 작품집이..

브람스 : 헝가리 무곡 (피아노 연탄곡) [Julius Katchen · Jean-Pierre Marty]

Hungarian Dances (21) for piano, 4 hands, WoO 1 Johannes Brahms 1833∼1897 브람스가 헝가리의 집시 음악에 관심을 가진 것은 헝가리의 바이올린 연주가 에드알트 레메니와 함께 연주여행을 다닐 때였다. 그가 음악을 연주하면 그 느낌을 조금씩 메모해 두었다가 곡으로 완성 시킨 것이 헝가리 무곡이다. 헝가리의 집시 음악적 요소를 많이 도입한 은 유랑 민족 집시들의 음악을 소재로 탄생 되었으며 피아노 연탄곡으로 꾸며져 전부 4권으로 되어있다. 1869년 제 1·2집 10곡을, 80년 제 3·4집 11곡을 각각 출판하였다. 앞의 것은 그가 수집·정리한 헝가리 집시음악을 피아노 연탄용(聯彈用)으로 편곡한 것이 대부분이고 뒤의 것은 그의 창작작품도 포함되어 있으며..

브람스의 변주곡들

브람스의 음악이라고 하면 탄탄한 구조 아래 서정성과 장엄함을 동시에 갖춘 네 개의 교향곡, 고전주의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낭만주의 경향을 녹여낸 피아노 협주곡, 19세기 독일 음악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수많은 실내악 등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브람스가 변주곡을 작곡했다는 사실은 어지간한 클래식 애호가가 아니라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람스가 살던 당시 유럽의 작곡가들은 다른 작곡가가 쓴 선율이나 민요 선율 등을 이용해 변주곡을 작곡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브람스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원곡의 선율은 살리면서도 브람스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음악 어법을 활용하여 역사에 남을만한 뛰어난 변주곡을 남겼습니다.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35. (Variations on a T..

드뷔시 : 피아노를 위하여 (Pour le Piano), L.95 [Samson François]

Pour le piano, CD 95, L. 95 Claude Debussy, 1862~1918 드뷔시는 자신의 음악 경력과 음악교육을 피아노로 시작하였으며, 본래는 피아노의 대가가 되려는 희망을 갖고 있었다. 자기 고유의 악기인 피아노의 작곡가로서 그는 이상스럽게도 아주 더딘 발전을 보였지만 반면에 그는 관현악의 보다 규모가 큰 다채로운 음향은 재빨리 마스터했다. 그의 성숙기 작품은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피아노 음악을 들려주는데 드뷔시가 피아노에서 새로운 자기만의 확고한 세계를 찾아낸 것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피아노라는 악기만에 국한된 문제도 아니었다. 피아노를 위하여는 3곡(전주곡, 사라방드, 토카타)으로 이루어져있다. 드뷔시는 자연과 상상력간의 대화 라고 스스로 불렀던..

드뷔시 : 판화 (Estampes),L.100 [Samson François]

Estampes,L.100 Claude Debussy, 1862~1918 《판화(Estampes)》는 ··의 3곡으로 구성되는 드뷔시의 초기 명곡입니다(1903.7 작곡-같은 해 10월 출판). 인도네시아, 스페인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작품들이지만 '실제로는 가 본 경험이 없는', 즉 해당 나라의 인상이 아닌 드뷔시만의 '상상(환상)의 세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제1곡 탑(Pagodes) 드뷔시는 실제로 판화를 작업해본 적이 없으며, 상상으로 즐긴 동양 음악에의 감명을 그대로 옮긴 곡이 《판화》제1곡 '탑'입니다. 이 작품은 '자바 음악'의 영향을 나타낸 것입니다. 드뷔시는 1889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에서 자바 음악을 처음 접하고 크게 감명을 받아 자주 박람회장으로 발 길을 옮긴바 있었다..

쇼팽 : 피아노 소나타 3번, Op.58 [Martha Argerich]

Piano Sonata No.3 in B minor, Op.58 Frederic Franois Chopin, 1810∼1849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는 고전적 스타일의 이론과 구조, 발전방식, 대위법 등등을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르투오소-낭만주의적 이디엄과 쇼팽 자신의 개성적인 화성적 감수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혁신적인 면모를 갖고 있다. 피아노 소나타 3번 Op.58은 1844년에 완성된 작품으로서 노앙에 있는 조르주 상드의 집에서 작곡하여 페르시우스 백작부인에게 헌정, 이듬해 1845년 5월에 출판되었다. 바흐는 이 걸작 소나타를 창조해 내는 데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매일 아침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혹은 인벤션을 연습했던 쇼팽에게 있어서 바흐는 테크닉을 위한 에피타이저 같은 작곡가..

[클래식명곡] 쇼팽 : 전주곡 15번, Op.28-15《빗방울》[Lang Lang, Vladimir Horowitz, 조성진 et al.]

24 Preludes,Op 28 - No 15 In D Flat Major "Raindrop" Frédéric Chopin, 1810∼1849 빗방울 전주곡은 쇼팽의 작곡한 24개의 전주곡(24 Preludes, Op. 28)의 15번째 곡의 별칭이다. 쇼팽은 사실 이 전주곡들에 특별한 부제를 붙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곡이 유명해지자 여러 사람들이 이 곡들에 다양한 별칭을 붙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15번을 누구나 빗방울이라 불렀다. 이 곡의 왼손의 반주가 반복하는 음울한 음이 빗방울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24개의 전주곡은 쇼팽이 1838~39년의 겨울에 마조르카에 머물 때 주로 작곡된 곡이다. 당시 쇼팽은 유명한 여류 소설가 조르주 상드와 연인 관계였다. 조르주 상드는 쇼팽보다 6살 연상이었고 아이..

[클래식명곡] 슈베르트 : 군대 행진곡 D.733, 1번 [Daniel Barenboim · Vladimir Horowitz· Hans Knappertsbusch]

3 Marches militaires, Op. 51, D. 733: No. 1 in D Major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슈베르트는 피아노 연탄곡을 가장 많이 작곡한 작곡가이다. 대략 35곡의 피아노 연탄곡을 남겼는데, 이는 당시 중산층을 중심으로 직접 피아노 연탄을 즐기려는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슈베르트는 피아노 연탄곡을 교재용으로 작곡했거나 악보 출판을 통한 수입을 얻기 위해 작곡했다.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작품번호 51의 군대 행진곡이다. 작곡 배경에 대해서는 영국의 뉴 그로브 음악-음악가 사전[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에는 슈베르트가 1818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 헝가리 첼리츠에 있는..

슈베르트 : 3개의 군대 행진곡, D.733 [Daniel Barenboim · Radu Lupu]

3 Marches militaires, Op. 51, D. 733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3곡으로 이루어진 슈베르트의 피아노 연탄곡(連彈曲, 작품 51. D733). 1822년 무렵의 작품이다. 특히 제 1번 D장조(알레그로 비바체 4/4박자)가 유명하며, 일반적으로 《군대행진곡》이라고 하면 이 곡만을 가리킨다. 군대의 나팔이나 북소리를 모방한 악상(樂想)은 씩씩하고 화려하며 복합 3 부형식을 취하고, 행진곡으로서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므로 타우지히의 피아노 독주용 편곡이나, 관현악용 편곡으로도 자주 연주된다. 제 2번은 G장조, 4/4박자 알레그로 디 몰토이고 제 3번은 변(變) E장조 4/4박자 알레그로 모데라토이다. 이들은 모두 고도의 연주기교를 필요로 하지 않아 1..

라흐마니노프 : 교향시《죽음의 섬(Isle of the Dead) [Mikhail Pletnev · Vladimir Ashkenazy]

The Isle of the Dead, Op. 29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미술 작품을 보고 영감을 얻어 그림을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 많다. 어찌 보면 공간 예술인 그림이나 조각을 시간 예술인 음악으로 둔갑시킨 것이 더욱 큰 감동을 줄 수도 있다. 음악의 호소력이 때론 미술보다 크기 때문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림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는 흔히 무소르그스키의 이 알려져 있지만, 그림의 분위기를 가장 리얼하게 나타낸 음악으로는 무엇보다 먼저 라흐마니노프의 이라는 교향시를 들 수 있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는 러시아의 세계적 작곡가로서 을 비롯한 성악곡 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가 32살 때인 1905년에 작곡한 이 은 무시무시한 소재를 다뤘다는 점에서도..

라흐마니노프 (Sergei Rachmaninoff, 1873∼1943)와 대표명곡

러시아 작곡가·피아니스트·지휘자. 세모노보의 귀족집안에서 태어났다. 페테르부르크음악원을 거쳐서 모스크바음악원에서 공부했으며 18세 때 피아노과, 19세 때 작곡과를 졸업했다. 그 무렵 작곡한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C단조》로 이름을 떨쳤으며, 피아니스트로서의 활동도 전개했는데, 자신이 초연(初演)한 《피아노협주곡 제 2 번 C단조(작품 18, 1901)》로 글린카상을 받고 명성을 확립했다. 1904년부터 2년간 볼쇼이극장의 지휘자가 되었으며, 1906년에는 자작 오페라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를 초연했다. 1906년 드레스덴으로 옮겨가 그곳에서 작곡한 《교향곡 제 2 번 E단조(작품 27, 1907)》로 두번째 글린카상을 받았다. 1909년 미국으로 건너가 이듬해까지 피아니스트로서 활약했으며, 1909년..

라흐마니노프 : 첼로 소나타 G단조 Op.19 [Yo-Yo Ma · Emanuel Ax]

Cello Sonata in G Minor, Op. 19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라흐마니노프의 첼로 소나타 g단조는 그가 작곡한 유일한 첼로 소나타이다. 이 곡은 러시아의 거대한 스케일에 걸맞는 대규모 작품으로, 피아노와 첼로가 각기 독자적인 움직임을 갖도록 만들어졌다. 하지만 피아노 성부는 아주 대단한 기교를 요구하여서, 때로 첼로를 배경으로 밀어넣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사람들은 이 곡이 첼로 반주에 의한 피아노 소나타가 아닌가 생각해보기도 한다. 이 곡에는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서정적인 정열과 따스함이 깃들어있고, 그래서 훨씬 더 강렬한 인상을 준다. I. Lento - Allegro moderato II. Allegro scherzando III. Andante IV..

라흐마니노프 : 저녁기도(Vespers), Op.37 [Choir of King's College, Cambridge]

Vespers (All-Night Vigil), Op. 37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아카펠라 합창을 위한 라흐마니노프의 명작 'op.37’은 오늘날 ‘저녁기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처럼 잘못 굳어진 제목이다. 러시아 정교의 토요일 성무일과에서는 저녁기도(Vespers)와 그 다음날 새벽기도(Matins)를 합쳐서 치른다. 러시아의 많은 작곡가들이 이를 위해 곡을 썼다. 라흐마니노프의 ‘op.37’도 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작품은 최근 영어권에서 ‘All-Night Vigil’이라고 표기하는 것처럼 ‘철야기도’라고 불러야 옳을 것이다. 01. Vespers, Op. 37: Introduction. Vosstanite… Slava sv..

[클래식명곡] 라흐마니노프 : 보칼리제(Vocalise), Op.34, No.14 [Aida Garifullina · André Previn · Joshua Bell · Mischa Maisky · Itzhak Perlman]

Vocalise, Op. 34, No. 14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는 1912년에 작곡된 13개의 가곡 작품 34에 덧붙여진 곡으로, 1915년에 작곡되었다. 이 곡은 소프라노 가수였던 안토니나 네츠다노바에게 헌정되었다. 초연은 1916년 모스코바에서 쿠셰비츠키의 지휘로 이루어졌고, 노래는 안토니나 네츠다노바가 불렀다. '보칼리제'라는 말의 의미가 원래 '말이 없는 노래'를 뜻하는 것처럼 가사가 없는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의 성악곡 작곡 기법이 러시아어와 러시아의 전통적 노래 형태에 기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칼리제'에서는 가사 없는 간결성이 오히려 더욱 감동을 주며 말로 담을 수 없는 깊은 의미가 배어 있다. 국내 CF및 드라마, 영화,삽..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소나타 2번 [Vladimir Ashkenazy]

Piano Sonata No. 2 In B Flat Minor, Op. 36 - 1913 Version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1913년은 라흐마니노프에게 가장 창작 활동이 활발했던 해로서, 그의 수작 중 하나라고 평과되는 '종'과 B Flat minor의 2번 소나타가 작곡되었다. 그는 이 소나타를 1913년 12월 모스크바에서 초연했으나, 1913년 미국 생활 중 개정을 하였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는 이 작품의 위대한 해석가였으며, 이 음악이 피아노 래퍼토리로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이 그의 공로다. 하지만 이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선 훌륭한 기교를 갖춘 피아니스트 한 명만 있으면 된다. 이 소나타는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가운데 가장 팽팽하게 짜여진 곡이다. 알레그로 모데라..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소나타 1번 [Vladimir Ashkenazy]

Piano Sonata No.1 in D minor, Op.28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1907년 드레스덴 체재 중에 완성한 제1소나타 d단조 작품28은 장대한 곡으로서, 라고도 불려진다. 3개의 악장에 동일 주제가 순환하면서 나타나는 형식인데, 제1악장이 파우스트, 제2악장이 그레첸, 제3악장이 메피스토펠레스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느린 이유 때문인지 거의 연주되는 기회가 없다. 1. Allegro moderato 2. Lento 3. Allegro molto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소나타 2번 [백건우]

Piano Sonata No. 2 In B Flat Minor, Op. 36 - 1913 Version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1913년은 라흐마니노프에게 가장 창작 활동이 활발했던 해로서, 그의 수작 중 하나라고 평과되는 '종'과 B Flat minor의 2번 소나타가 작곡되었다. 그는 이 소나타를 1913년 12월 모스크바에서 초연했으나, 1913년 미국 생활 중 개정을 하였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는 이 작품의 위대한 해석가였으며, 이 음악이 피아노 래퍼토리로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이 그의 공로다. 하지만 이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선 훌륭한 기교를 갖춘 피아니스트 한 명만 있으면 된다. 이 소나타는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가운데 가장 팽팽하게 짜여진 곡이다. 알레그로 모데라..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소나타 1번 [백건우]

Piano Sonata No.1 in D minor, Op.28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1907년 드레스덴 체재 중에 완성한 제1소나타 d단조 작품28은 장대한 곡으로서, 라고도 불려진다. 3개의 악장에 동일 주제가 순환하면서 나타나는 형식인데, 제1악장이 파우스트, 제2악장이 그레첸, 제3악장이 메피스토펠레스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느린 이유 때문인지 거의 연주되는 기회가 없다. 1. Allegro moderato 2. Lento 3. Allegro molto

라흐마니노프 : 24개의 전주곡 [Vladimir Ashkenazy]

Preludes Op.3 No.2, Op.23 & Op.32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근대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자신이 작곡가이기를 항상 갈망했고, 피아니스트로서의 지위는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여러 차례에 걸쳐 토로한 적이 있다. 그가 작곡한 많은 작품들이 지금에 와서도 여전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라흐마니노프는 진보적인 작곡가로서의 업적보다는 고전주의 피아니즘에 대한 업적으로 음악사적으로 더 많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참 아이러니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생의 마지막 무렵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 바 있다. “피아노 소품을 작곡하는 것은 교향곡이나 협주곡보다 나에게는 더 큰 문제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