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음악/모차르트

모차르트 : 오보에 협주곡, K.314 [Albrecht Mayer · Claudio Abbado · Mahler Chamber Orchestra]

想像 2024. 4. 2. 12:41
반응형

Oboe Concerto in C Major, K. 314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클라리넷 협주곡의 진정한 모습이 오랜 기간동안 역사속에 묻혀 있었듯이 이 오보에 협주곡도 오랜 기간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모차르트가 여행 갔던 만하임에서 아버지에게 쓴 편지에는 "람이라는 오보에 주자는 '내가 휄렌디스를 위해 쓴 오보에 협주곡'을 벌써 5번이나 연주해 커다란 갈채를 받아서…"라는 내용이 있어 모차르트가 오보에 협주곡을 썼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하지만 악보는 출판되지 않은 상태로 행방불명이 되어 오랜기간 그 실체가 알려지지 않았었다. 그 악보가 발견된 때는 1920년으로, 모차르트 사후 130년간이나 행방 불명이던 악보이다. 그것도 모차르트의 자필 원고가 아닌 사보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또하나 우리들을 놀라게 한 일은 이 곡이 이미 알려져있던 플루트 협주곡 D장조 K314와 거의 똑같다는 점이다. 두 악보를 비교하면 조가 다를 뿐이다. 플루트 협주곡은 이 악기에 맞춰 불기 쉽게 D장조이지만 오보에 협주곡은 오보에가 연주하기 쉽게 C장조이다. 그리고 각각 음역에 맞춰 음형이 조금 다른 정도이다. 그럼 이게 어떻게 된 일인지, 모차르트는 어느 쪽을 먼저 썼는지, 어느 쪽이 나중에 편곡된 곡인지 알아볼 일이다. 또한 이 오보에 협주곡이 모차르트의 편지 속에 나오는 그 '휄렌디스를 위한 협주곡'인지, 아니면 다른 기회에 쓴 다른 곡인지도 궁금하다. 그러나 해답을 아는 사람은 저 세상에 가고 없고… 신에게 물어야 할지. 

 

만약 이 곡이 휄렌디스를 위해 쓴 오보에 협주곡이라면 플루트 협주곡 D장조는 그 편곡에 해당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곡이 그 협주곡이 아니라면 플루트 협주곡이 먼저 쓴 곡이다. 나중에 오보에용으로 모차르트나 혹은 제 3자가 편곡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 누구도 답을 찾을 수 없기에 아인슈타인(Alfred Einstein, 1880-1952년)의 가설에 따라 현재는 오보에 협주곡이 원곡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대의 세미 오토매틱이라든지 풀 오토매틱이라고 불리우는 오보에로 연주하면 이 협주곡은 비교적 어려운 곡이 아니지만 18세기의 건반이 2개 밖에 없는 오보에로 연주하면 전조한 페세지 중에 아주 어려운 부분이 나온다. 따라서 연주는 아주 힘들다. 휄렌디스는 당시 오보에의 명인이 낳은 북이탈리아의 출신 오보에 주자이다. 만약 이 곡을 자유자재로 연주했다면 역시 대단한 실력을 가진 사람임에 틀림없다.

 

728x90

Auf Mozarts Spuren ℗ 2004 Universal Music Classics

 

Albrecht Mayer (Oboe)
Claudio Abbado · Mahler Chamber Orchestra

 

 

제1악장  Allegro aperto

 

협주곡풍의 소나타 형식. 이 알레그로 악장은 아페르토(aperto, 확실히)라고 지시되어 있다. K313의 제1악장처럼 밝은 악장이다. 

 

 

 

제2악장 Adagio ma non troppo

 

소나타 형식. 서정적인 아름다운 완서악장이다. 

 

 

 

제3악장 Rondo. Allegretto

 

악곡의 성격에서 보면 명백히 론도이지만 주제의 제시법에서 보면 변칙적인 소나타 형식이다. 경쾌한 기분이 가득찬 악장이다.

 

반응형